159 0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7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영역 비교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7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영역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7th Curriculum
Author
시명자
Advisor(s)
오창호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7차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 및 STS관련 내용의 인식 등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아울러 바람직한 과학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얼마만큼 시행되어 질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새 교과서 선정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의거해 편찬된 총 10종의 7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 영역을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을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제7차 교육과정의 탐구활동과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정 교육과정의 탐구활동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활동 내용 분석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별 탐구활동의 수와 탐구 활동 내용과 주제를 대상으로 했고, 10종 교과서 탐구 활동 내용의 주제별 분석 결과 7학년 과학교과서 10종에서 다루고 있는 탐구 활동 주제의 총합은 314회였고, 탐구 활동의 주제를 내용이나 탐구 활동이 같거나 비슷한 경우 대표적인 하나의 주제로 묶어서 분석한 결과 총 163개의 주제로 좁혀졌다. 각 단원은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필수 탐구 활동을 공통 주제로 모두 수록하고 있었다. 탐구 활동의 단원별 횟수를 살펴보면 ‘분자의 운동’ 단원이 116회(37%)로 가장 많았고, ‘상태 변화와 에너지’ 단원 103회(33%),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단원 95회(30%), 순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별 탐구 활동 횟수는 G교과서가 41회(13%)로 가장 높았고, E교과서가 23회(7%)로 가장 낮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과서 이외의 실험으로 다루어졌던 실험들이 다수의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탐구활동 과정 분석은 7학년 과학 교과서 탐구활동 영역에 수록된 질문들을 Klopfer의 탐구과정 요소(B.0~E.0)에 따라 분석했고, 총 749개의 질문 중 ‘자료해석 및 일반화(D.0)’ 가 383회(51%)로 가장 많았고, ‘관찰 및 측정(B.0)’ 이 238회(32%), ‘문제발견 및 해결방안(C.0)’ 이 86회(11%), ‘이론모델 형성 검증 및 수정(E.0)’ 이 42회(6%)순으로 나타났다. 각 교과서별 탐구 과정 요소의 비율을 살펴보면 A와 D교과서는 ‘관찰 및 측정(B.0)’이 가장 많았고, 그 외 8종 교과서는 ‘자료해석 및 일반화(D.0)’가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관찰 및 측정(B.0)’ 과 ‘자료해석 및 일반화(D.0)’ 같은 하위 탐구 과정 요소에 비해 ‘문제발견 및 해결방안 모색(C.0)’ 과 ‘이론모델 형성 검증 및 수정(E.0)’ 같은 상위 탐구 과정 요소가 낮은 비율로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탐구 과정 요소의 비율은 제7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자료해석 및 일반화’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탐구 활동 상황 분석은 NAEP 4차원 평가 틀에 의해 분석 했고, 총 314회의 탐구 활동 중 ‘과학적 상황 요소’가 186회(60%)로 가장 많았고, ‘개인적 상황 요소’가 84회(26%), ‘기술적 상황 요소’가 23회(7%), ‘사회적 상황 요소’가 21회(7%)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별 탐구 상황 요소의 비율을 살펴보면 10종 교과서 모두 ‘과학적 상황 요소’가 가장 많고, F, G, I, J교과서를 제외하면 ‘사회적 상황 요소’가 가장 적었다. NAEP 4차 평가 틀에서 개인적 상황요소, 사회적 상황요소, 기술적 상황요소를 묶어 40~60%의 비율을 배정하고 있는데, 개정 교육과정 탐구 활동 상황 분석 결과 개인적, 사회적, 기술적 상황을 합해 40%인 것은 개정 교과서에 STS적 탐구 활동이 어느 정도 적절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STS관련 주제가 탐구 활동 전 영역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10%정도였는데,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40%로 4배정도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후속연구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사고력과 창의력 신장을 위한 과학 교육 방법으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유탐구’가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지도를 위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탐구활동만을 분석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과학 교과서의 전체적인 분석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수행하고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검토와 효율적인 사용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3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1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