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1 0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미적특성

Title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미적특성
Author
유상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오늘날 세계는 거대한 시장인 중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1980년대부터 중국 개방화 정책의 실시에 따라서 서양 각국은 다시 중국시장을 향한 문을 개방하였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패션 시장은 이미 “Made in China”부터 “Created in China”으로 변화하였다. 2003년 WTO 가입, 2008년 베이징 올림픽대회의 개최 등으로 양권에 대한 비중이 높아졌고 많은 패션디자이너가 동양적 이미지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 중에서 중국 대표적 전통 복식인 치파오는 여러나라 디자이너의 관심을 끌었다. 서양에 가장 잘 알려져서 대표적인 모티브로 사용되고 있는 치파오 스타일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어떠한 형식과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치파오의 역사적 배경과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치파오의 유래 및 변천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치파오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복식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원래 중국 인구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한족(漢族) 사람들의 전통 복식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고 중국 마지막 봉건왕조의 통지자인 만주족(滿洲族) 사람들이 착용했던 장포(長袍)에서 유전 내린 것을 알 수 있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치파오도 우여곡절을 지냈다. 1920년대에는 신식(新式) 치파오를 탄생하였는데 1930년대~1940년대는 치파오의 “황금시기(黃金時期)”이라고 한다. 바로 이때부터 치파오는 여성 복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중국 여성 복식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60~1970년대에는 정치원인때문에 치파오는 암흑시대에 빠지었다. 1980년대부터 중국 개방화 정책의 실시에 따라서 치파오는 다시 소생되었으며, 세계 패션 디자이너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둘째, 전통 만주족 복식 및 근• 현대 치파오의 구성과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 연수치파오(連袖旗袍)는 평면에서 몸통과 소매부분은 어깨로부터 내려왔고 몸통과 소매는 하나로 재단하였다. 따라서 전통 만주족 장포는 에이치 실루엣(H- silhouette)이고 1920녀대 서양 복식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 현대 치파오는 점점 서양화 되고 타이트 실루엣(tight silhouette)로 변했다. 이 때부터 전통 치파오의 색채, 문양, 소재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색채는 주로 전통적인 오방색(五方色)란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색상을 선호하였다. 동물문양이라고 하면 용(龍), 봉(鳳), 귀(龜), 린(麟)의 사령(四靈)을 들게 되고 전통 식물문은 매화를 비롯하여 대나무, 국화, 연화, 모란 등 있었다. 중국 대표적인 전통 기하문과 우화상징(寓話像徵) 문양도 전통 치파오에 많이 응용하였다. 전통 치파오의 소재를 보면 전통 만주족 장포는 주로 가죽이나 천연 옷감 재료를 사용하여 20세기 초부터 서양 복식 소재가 중국에 많이 수입하기 때문에 치파오의 옷감 재료도 다양하게 되었다. 셋째,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을 응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선 세계 4대 패션컬렉션인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세계 4대 패션컬렉션은 2000년 S/S부터 2009년 F/W까지 10년 간의(20시즌) 패션 컬렉션을 분석하였는데, 전체 컬렉션 중에 치파오 스타일을 보여준 22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그 안에서 418 장의 치파오 스타일 사진을 발췌하여 분석하었다. 2008년 67개로 가장 많이 응용되었다. 시즌별로는 S/S 시즌에 193개, F/W 시즌에 225개로 S/S 시즌보다 F/W 시즌에 더 많이 응용되었다. 컬렉션별로는 밀라노 컬렉션에 응용된 사례가 176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파리 컬렉션은 143개로 밀라노과 가깝게 높은 개수를 나타냈다. 뉴욕은 85개로 나타나 전체의 20%를 차지하였고 런던은 14개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에 중국내 현대 패션컬렉션을 분석하였다. 중국 본토 패션컬렉션은 영향력과 중요성이 제일 큰 “중국 국제 패션 위크”에서 나타난 대표적 중국 현대 패션디자이너 장조달(張肇達), 라징(羅峥 ), 량자(良子), 길성(吉承) 의 컬렉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도별로는 2003년부터 이전 매년에 한 번만 열렸던 게로 매년 3월, 11월에 시즌별에 따라 두 번씩 열렸으기 때문에 2003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이 급적히 증가하였는데 시즌별로는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세계 4대 패션 컬렉션과 중국 국제 패션 위크 사례를 살펴본 결과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수가 사회활동이나 정치요소 등에서 영향을 받은 것을 볼 수 있고 중국 본토 패션컬렉션은 사화적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즌별 사례 개수를 보면 세계 4대 패션 컬렉션 F/W 시즌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이 S/S 시즌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중국 패션 컬렉션은 시즌별 큰 차이가 없었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은 디자인 요소별 실루엣, 디테일, 색채, 문양, 소재로 정리하였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슬림한 실루엣을 많이 응용하고 박스형, 타이트 실루엣, 루즈 실루엣 등도 다양하게 나타났고 전통 만주족 장포의 한판에서 평면재단이 서양의 입체재단과 자연스럽게 결합된 디자인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원피스 형태를 뿐만 아니라 투피스(two piece)나 쓰리피스(three pieces)까지 나타났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디테일 특징은 칼라 형태, 여밈/금(襟) 형태와 소매 형태로 정리하였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칼라 형태를 살펴보면 20세기 초 유행했던 원보령(元寶領)과 1920~1930년대 치파오의 “황금시대(黃金時期)”에 나타난 상해령(上海領)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근• 현대 치파오 칼라 형태 중의 수저령(水滴領)과 ‘V’자령(‘V’字領)을 변형시킨 새로운 현대적인 칼라 형태도 많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소매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만주족 복식의 마제수(馬蹄袖) 형태와 근• 현대 치파오의 도대수(倒大袖) 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금(襟)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치파오의 좌금(左襟) 형태 기본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고 근• 현대 치파오에서는 직금(直襟)과 쌍금(雙襟) 형태가 나타난데 금(襟) 형태의 제일 중요한 특성은 현대적 기하 문양이나 선 문양을 이용하여 전통 치파오 금(襟) 형태를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색채는 전통적인 선호하는 오방색 색상에서 좀 더 화려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문양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래픽화 되어진 문양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소재 응용은 광택 느낌을 살린 가죽 소재라든지 비닐 느낌의 소재 등이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은 최연과 왕애령의 선행 연구에서 나타났던 전통미, 현대미, 자연미, 융합미를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중요한 조형적 특징은 바로 퓨전(fusion)이다. 유럽풍의 로코코 시누아즈리 복식 형태와 융합했으며 “중• 서합벽(中西合璧)”의 치파오 스타일을 볼 수 있었다. 동양쪽에 비슷한 역사• 문화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융합시킨 새로운 치파오 스타일이 나타났는데 일본 대표적인 기모노 복식 형태 중의 오비를 결합한 퓨전 치파오 스타일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은 중국 대표적 남성복인 중산복(中山服)의 요소를 응용했으며 중성복(中性服) 스타일이 나타났다. 현재에 중국에서 활동하는 중국 디자이너들이나 세계 패션디자이너들을 막론하고 그냥 치파오 디자인하려고 창작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의 마음속에 있는 감정과 의도등을 스스로 표현해서 치파오 스타일을 이용하고 패션 디자인하였다. 그래서 치파오 패션디자인 특징이 아니고 치파오 스타일을 응용하며 현대 패션디자인 특징을 말하면 더 정확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현대 패션디자인 컬렉션에서 누구나 어디든지 다 쉽게 치파오 스타일을 찾을 수 있다면 바로 치파오의 의미와 최고 가치라고 생각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28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4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