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0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or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uthor
김은경
Alternative Author(s)
Kim, Eun Kyung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Haward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기초로 하여 학습자 중심교육을 위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수업지도 방안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시각이미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해졌고 시각문화의 영역은 광범위하게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높아졌다. 시각문화란 시각의 우선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각(the visual)’ 측면과 사회적·역사적·문화적 맥락을 중요하게 보는 ‘문화(the culture)’의 측면이 있다. 결국 시각문화교육은 양쪽을 모두 통합하여 ‘시각’의 광범위함과 ‘문화’가 가지고 있는 복합성에 근거한 통합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다시 말해 문화가운데 살고 있는 학습자의 삶과 연계성을 가지고 좀 더 학생 개개인의 문화에 접근하고자 구체화 된 것이 시각문화미술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시각문화미술교육은 학습자의 ‘경험’을 중요하게 보고, 학습자의 경험이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습의 효과도 볼 수 있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학습자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에 알맞은 수업을 전개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문제를 탐구하며, 학습 자료나 학습자간의 상호 교류적 학습활동으로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한다. 이에 근거하여 시각문화교육은 학제간(interdisciplinary) 통합학문의 성격을 갖으며 시각문화의 영역을 통해서 다양한 지능의 영역을 교육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그래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의 연결고리를 찾았고 미술과(科)에서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순서는 학습자 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과 함께 시각문화와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두 이론의 연관성을 찾아 미술교과에서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원리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이론의 연구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미술 단원 지도안을 3가지 주제에 맞추어 2차시수업을 제시하였다. 지도안은 시각의 관점에서 만화를, 문화의 관점에서 춤과 평화를 주제로 하였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위하여 각 주제를 가지고 개별 및 모둠활동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문제를 탐구하고 학습자 삶에서 발전성을 갖게 하도록 하였다. 또 교수-학습활동마다 학습자의 잠재적 지능을 도모하기위해 해당 지능영역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실질적인 수업 결과물을 위해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실질적인 수업 결과물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수업지도안을 예상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의 입장에서 학습자가 직접 수업의 주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개발한 수업지도안으로 수업을 진행하여 실제적인 결과물을 제시할 수는 없었지만, 다중지능 이론이 교육의 목적이 아닌 전략적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강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미술교과안에서도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학제간 통합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고안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기대할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다중지능 이론을 기초로 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학습자 스스로 삶 속에서 미적인 것을 즐길 수 있으며 잠재적 지능을 발견하게 되어 학습자의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8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