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0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평가

Title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상태 평가
Other Titles
Nutrient Intake and Osteoporosis: A case-control Stud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uthor
허주미
Alternative Author(s)
Heo, Ju Mi
Advisor(s)
박용순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의학기술과 경제발전에 따른 영양상태 및 주거환경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의 인구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골다공증도 예외는 아니다. 골다공증은 장기간에 걸친 골대사의 결과로 나타나며 다양한 영양소와 식품 섭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장기적인 식생활의 조절이 중요하다. 이에 서울지역과 서울 근교의 다기관이 참여하여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병원을 방문한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환자군 72명, 대조군 72명으로 척추, 대퇴경부, 총 대퇴골의 T-score 값과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호르몬 섭취 여부는 대조군보다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연령과 폐경 연령에서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영양소는 열량, 식물성단백질, 동물성단백질, 식물성지질, 당질, 식이섬유, 식물성칼슘, 동물성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나이아신, 비타민 C, 엽산 등이 있었고(p<0.05) 식품군에서는 생선류(P=0.005)의 섭취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퇴경부와 유의하게 관련성을 보인 영양소는 단백질, 지방, 당질, 식이섬유,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 A, 레티놀, 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6, 비타민 C 등이 있었고 식품군에서는 채소류의 섭취가 유의하게 관련성을 보였다. 열량(P for trend=0.006), 칼슘(P for trend=0.012), 식물성 칼슘(P for trend=0.018), 나트륨(P for trend=0.017), 칼륨(P for trend=0.029), 비타민 A(P for trend=0.007), 카로틴(P for trend=0.029)의 섭취가 많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국과 찌개류(P for trend= 0.032)의 섭취가 많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의 골밀도 증진을 위하여 충분한 식품의 섭취를 통하여 적절한 열량,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C, 엽산 등의 영양소를 함유한 다양한 식품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steoporosis, a common disease among postmenopausal women has been known to be influenced by the di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of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ith and without osteoporosis. Seventy-two cases with osteoporosis and 72 age-matched controls without osteoporosis were recruited from 10 hospitals around Seoul during April 1 through September 31, 2009. Osteoporosis was determined following the WHO guideline. Data for the intake of foods and nutrients were obtain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by Can-pro 3.0.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ge (59.8 vs. 58.0 years old) and age of menopause (51.2 vs. 53.1 years ol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ases and control, but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less in cases than controls,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controls. Cases consumed significantly less energy and most of nutrients, such as total protein, plant protein, animal protein, plant fat, cholesterol, total fatty acids, saturated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n-3 fatty acids, carbohydrate, fiber, plant calcium, animal calcium, phosphorous, plant iron, animal iron, sodium, potassium, zinc, vitamin A, carotene, vitamin E,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niacin, vitamin C, folate. In addition, consumption of fish was significantly less in cases than contro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dequat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may prevent osteoporosis after menopaus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