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0

미술과 연계한 고등학교 음악감상수업 지도방법

Title
미술과 연계한 고등학교 음악감상수업 지도방법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Music Listening Method for High-School Music Textbooks Curriculum Association with Arts
Author
최안나
Advisor(s)
조혜영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를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현대음악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20세기로 들어오면서 예술 사조는 전통과의 단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가 더 새로운 시도를 하느냐에 따라 여러 사조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이러한 새롭고 전위적인 예술들을 접하기 어려운 일반 대중에게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진다. 전통과 현대의 경계선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지만 인상주의와 표현주의는 그 길목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사조를 거쳐 수많은 새로운 시도들이 생겨났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현대예술의 감상을 열어주는 관문이라 할 수 있다. 인상주의와 표현주의는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나타난 예술운동으로 미술이나 문학에서 시작하여 음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두 사조 모두 미술과 음악이 긴밀하게 연관되며 서로 영향을 끼쳤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상주의와 표현주의 음악을 미술과 연계하여 감상하는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각 사조의 미술과 음악에 대해 파악하고 그 둘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미술과 음악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느냐가 학습지도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체적인 학습지도안 연구 설계에 앞서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서는 미술과 음악과의 관계를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시각과 청각을 함께 이용하여 흥미있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구상하였다. 1차시에서는 인상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 전주곡>을 감상하도록 하였고, 2차시에서는 표현주의에 대해 이해하고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삐에로>를 감상하도록 하였다. 각 차시에서는 각각의 사조에 대한 정의와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미술작품과 음악작품을 비교하거나 감상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음악작품과 미술작품에서 쓰인 기법이나 특징의 이해를 통해 미술과 음악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늘날 학교에서는 점점 통합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연극과 영어, 미술과 음악, 과학과 미술 등 여러 분야에서 통합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다른 과목과 연계하여 통합교육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사범대나 교육대학원 학생, 또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학교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3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