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9 0

당귀로부터 식물성에스트로겐 활성 탐색 및 동정

Title
당귀로부터 식물성에스트로겐 활성 탐색 및 동정
Other Titles
Evalu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ytoestrogenic Compound from Angelica gigas Nakai
Author
이지연
Alternative Author(s)
Ji Yeon Lee
Advisor(s)
이현규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당귀로부터 얻은 다양한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조사하고, 우수 획분의 구조와 에스트로겐 활성을 조사하였다. 당귀로부터 극성차이에 따라 다양한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유방암 세포 증식에 대한 효능 평가법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추출물 내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가장 높은 유방암 세포 증식 효과를 보인 열수추출물을 C18 cartridge가 장착된 prep-HPLC에 적용하여 90개의 획분을 얻었다. 90개 획분에 대해 유방암 세포 증식에 대한 효능과 폴리페놀 화합물 조성분석을 통하여 가장 우수한 획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활성성분의 구조는 Mass spectrometer와 1H-NM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은 ER competitive binding assay, cell proliferation assay, yeast-based estrogenicity assay, pS2 mRNA expression assa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당귀 용매별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열수, 70% 에탄올, 부탄올, 다이클로로메탄을 추출물에서 각각 138%, 111%, 105%, 105%로 열수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6~1.6% 및 0.6~1.2%로 에스트로겐 활성과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료 내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는 특정한 폴리페놀 성분이 에스트로겐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열수추출물로부터 얻은 90개의 획분 중 우수한 유방암 세포 증식 효과를 보인 획분(F28)을 분리하여 구조를 분석한 결과, caffeic acid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당귀의 에스트로겐 성분으로 동정된 caffeic acid는 estrogen receptor β와 강하게 결합하고, estrogen-responsive element dependent β-galactosidase activity 와 pS2 mRNA transcription 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로부터 당귀 열수추출물 유래 식물성에스트로겐 활성 물질이 caffeic acid 임을 확인하였으며, 폐경기여성의 호르몬대체요법을 위한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4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7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