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 0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HRD 담당자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Title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HRD 담당자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HRD Professional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n HRD Trend of Korean Conglomerates
Author
이동화
Alternative Author(s)
Lee, Dong Hwa
Advisor(s)
송영수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많은 기업들이 빠른 속도의 변화와 혁신만이 그들의 생존을 담보한다고 믿고 있지만 속도 이전에 중요한 것은 방향성이다. ‘얼마나 빨리 가느냐’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느냐’ 즉, 시계보다 나침반이 더욱 중요하다. HRD 담당자들에게 있어 HRD 동향을 파악한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나침반을 제공받는 것과 같다. 즉, 변화하는 국내 대기업 HRD의 흐름을 이해하고 기업의 실정에 맞게 HRD 전략에 반영·활용하는 프로세스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국내 대기업 HRD는 ASTD, ISPI와 같은 국제 컨퍼런스가 제시하는 글로벌 HRD 동향을 이해하고 공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국내 실정을 반영한 HRD 동향을 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하물며 동향에 따른 후속연구는 더욱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국내 대기업 HRD 동향을 바탕으로 각 동향에 따른 중요도와 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점적으로 육성해야하는 부문을 선별하고자 한다. 또한 Borich 계수를 활용하여 향후 HRD 담당자들이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고려할 수 있도록 교육 요구도를 도출할 것이다. 연구문제 1.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HRD 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 HRD 담당자가 인식하는 중요도 및 수행수준 차이 도출 연구문제 2. IPA 매트릭스에서 집중육성영역에 해당하는 국내 대기업 HRD 동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HRD 담당자가 인식하는 교육 요구 우선순위 역량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대기업 현장에서 HRD 활동을 하고 있는 2년차 이상의 실무 담당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기술 통계분석, t-검정, IPA 매트릭스, Borich 계수 식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HRD 담당자들의 중요도 인식 및 수행 수준차이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요인분석으로 나누어진 3가지 영역 중 ‘Ⅰ.전략적 인재경영(Talent Management)’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Ⅱ.현장성과 중심의 HRD 지원 활동 강화’, ‘Ⅲ.토털 러닝 솔루션 제공(Total Learning Solution)’순이었다. 영역 Ⅰ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 인식을 나타낸 세부 동향은 ‘HRM과 HRD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인재경영’이었으며 이는 전체 14가지 동향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수행수준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역 Ⅰ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영역 Ⅱ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 인식을 나타낸 동향은 ‘현장중심학습(Workplace Learning)을 통한 성과 창출 활동 강화’이었다. 또한 ‘성과(Performance) 중심의 HRD 평가 및 측정 활동 강화’는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 모두 낮은 수치로 분석되었으나 둘 간의 인식 차이는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IPA 매트릭스에서 역량을 분석한 결과 14개의 국내 대기업 HRD 동향 중 집중육성영역에 해당하는 동향은 ‘7: 퍼포먼스 컨설팅 강화’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대기업 HRD 동향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HRM과 HRD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인재경영(Talent Management)’, ‘퍼포먼스 컨설팅 강화’, ‘경영층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현장중심학습(Workplace Learning)을 통한 성과 창출 활동 강화’, ‘성과(Performance) 중심의 HRD 평가 및 측정 활동 강화’ 순으로 도출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2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0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