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 0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미술놀이 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Title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미술놀이 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 play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uthor
탁미라
Alternative Author(s)
Tak Mi La
Advisor(s)
김상숙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아동과 모-자 상호작용을 주제로 한 선행연 구에서 애착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활동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미술놀이 치료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모-자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애 착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모-자 상호작용에 관한 미술치료 프로그 램은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애착장애 아동과 모-자 상 호작용에 관한 놀이치료, 미술치료 선행논문 43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대상으로 치료놀이 활동의 기본원리 중 개입과 양육의 특징을 가진 활동들을 선별하여 활동주제와 치료목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입의 특징을 가진 개입 활동은 타인(모-자)과의 상호작용 인식 및 향상을 목표로 활동을 진 행한 회기가 25.4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양육 활동 또한 상호작용 향 상을 목표로 활동을 진행한 회기가 38.9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개입 활동과 양육 활동이 상호작용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뜻한 다. 다음으로 활동내용의 분석에서는 개입의 118개 활동들 중 가장 많이 사 용된 주제로 놀이가 47.46%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양육의 131개 활 - ii - 동들 중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신체적 접촉으로 백분율은 87.02%로 압도적이었다. 이는 주로 놀이와 신체적 접촉을 통해 개입과 개입, 양육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뜻하며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반응성 애 착장애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 치료 프로그램은 신체적 접촉을 다 양하게 활용한 미술놀이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런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모- 자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미술놀이 치료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프로그 램은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이 애착발달단계에서 경험하지 못한 어머니와 의 상호작용을 재 경험하여 상호작용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Bowlby의 애착발달단계를 이론적 근거로 삼아 16회기로 설계되었다. 프 로그램은 초기, 중기Ⅰ,중기Ⅱ, 후기 단계로 탐색하기, 접촉해주기, 반응 해주기, 긍정적 관계형성을 목표로 구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이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기존 미술치료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미술 놀이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 향상에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신체적 접촉을 활용한 모-자 미술놀이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반응성 애착장애 아 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놀이 치료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불안정 애착형성으로 인해 상호작용에 문제를 갖게 된 아동들의 원만한 상호작용과 정서적 발달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54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3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