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 0

쓰기에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 간의 관계

Title
쓰기에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among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Writing Ability
Author
이소영
Alternative Author(s)
Lee So Young
Advisor(s)
신태섭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 문 요 지 본 연구에서는 학습을 위한 쓰기에서 부담감을 많이 느끼는 중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쓰기에서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설정한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 그리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쓰기능력이 크게 발달하지만, 쓰기자기효능감의 수준은 낮게 나타나는 시기인 중학생 563명이며, 설문은 쓰기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그리고 쓰기능력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분석은 설정된 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절차는 먼저 설정된 측정모형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후,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모형 다듬기를 통해 수정한 후, 최종모형을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최종모형에 포함된 변인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고, 팬텀모형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레핑과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최종모형에서 성별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변인들인 쓰기에서의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인간의 직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숙달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숙달회피목표는 부적, 수행접근목표는 정적으로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회피목표는 상위인지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상위인지전략과 쓰기능력에, 상위인지전략은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쓰기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먼저 숙달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상위인지전략을 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회피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수행회피목표는 상위인지전략을 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은 상위인지전략을 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숙달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의 이중매개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나타난 경로계수의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남학생집단은 쓰기의 수행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여학생집단은 쓰기의 숙달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쓰기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숙달접근목표였다. 본 연구는 쓰기에서 정의적 요소인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 인지적 요소인 상위인지전략을 통합하여 쓰기 행동이 유발되는 과정을 입증하는 데 초점을 맞춤으로써 쓰기능력이 발현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쓰기와 같은 특정영역에서의 성취목표를 살핀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쓰기에서 중학생들이 지향하는 성취목표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의 상호작용과 성별의 차이를 이해해보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적용한 학습에서의 쓰기 및 쓰기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1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5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