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0

피리의 취법(吹法)에 관한 연구

Title
피리의 취법(吹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iri's Embouchure
Author
박치완
Alternative Author(s)
Park, Chi Wan
Advisor(s)
안성우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 문 요 지 본 논문은 기존에 서양음악학 분야에서 진행된 관악기 음향 특성에 관한 연구 성과를 적용하여 피리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피리의 음향 생성 원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의 결과를 토대로 피리의 취법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피리가 지닌 음향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정의해 보았다. 그리고 서와 관대가 미치는 음향적 영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피리의 안공법과 세 종류의 취법을 제시함으로써 연주에 있어서 보다 과학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여러 취법들에 의해 연주되는 피리의 음색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변화된 연주환경에서 요구되는 음향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각 장에서 도출된 결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향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피리는 관의 한쪽이 막힌 폐관악기이며, 기주(氣柱)의 내경이 일자(一字) 형태인 실린더 형 관악기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기의 압력이 입술과 가까운 쪽에서 강하게 생성되며, 그로 인한 파장이 형성된다. 둘째, 피리의 음향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입력 임피던스 예측 실험을 한 결과, 피리가 가진 음향적 구조에 의해 생성된 음고와 현재 피리 연주자들이 관습적으로 생성하고 있는 음고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여러 요소들 중에서도 서의 조절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서의 조절은 서 내부의 공간 변화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서 내부의 공간이 늘어나면 음고가 낮아지고, 서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면 음고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서 내부의 공간의 변화는 주로 서의 길이나 내경 등에 의한 것이었다. 셋째, 서 내부 공간의 변화에 따라 음고가 변화한다는 결론을 토대로 서를 통한 음고 변화 방법을 살펴본 결과, 김의 세기 조절, 서의 간격 조절, 서를 무는 정도의 조절 등의 세 가지 방법이 가능하였다. 넷째, 음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서의 조절 방법에 따라 피리의 취법을 보통물기, 조여물기, 풀어물기 등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여 제시해 보았다. 다섯째, 세 가지 취법에 따른 음고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피리의 음향적 특성, 세 가지 취법, 관습적 안공법 등의 조건들을 반영한 고음피리의 안공법을 새롭게 제시해 보았다. 여섯째, 세 가지 취법에 따른 음색을 살펴보기 위해 스펙트럼 분석과 포만트 분석을 하였는데, 먼저 스펙트럼 분석 결과 풀어물기, 보통물기, 조여물기는 각각 주파수 영역에 따라 진폭 세기의 정도가 달랐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가 취법별로 다른 음색 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포만트 분석 결과, 피리는 포만트Ⅰ이 1,520Hz, 포만트Ⅱ가 3,648Hz, 포만트Ⅲ이 5,019Hz, 포만트Ⅳ가 6,649Hz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음향학적으로 기주의 형태가 같은 실린더 형 폐관악기인 클라리넷과 유사한 포만트 영역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5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3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