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한국의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대유행 초기단계에서의 감염자 확산 양상 분석

Title
한국의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대유행 초기단계에서의 감염자 확산 양상 분석
Author
최준길
Advisor(s)
최보율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배경. 외국에서는 2009년도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초기단계에서의 역학적 특성 및 지역 사회 확산 양상을 규명하는 논문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감염병 초기 단계의 역학 연구는 시간과 공간을 고려함으로써 공중보건중재 조치의 객관적인 평가와 지역별 맞춤형 대응 전략 마련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신종인플루엔자 초기단계의 역학적 특성 및 확산 양상을 규명하여, 향후 신종감염병 대유행시 초기 감시 및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2009년도 신종인플루엔자 초기 단계인 비약물적 중재기간 동안 신종인플루엔자 감염자의 역학적 특성 및 확산 임계일을 추정하고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수를 분석한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주간 단위 확산 양상을 살피고, Moran’s I 공간자기상관 계수를 계산하여 지역별 신종인플루엔자 군집 양상을 지수화된 수치로 제시한다. 연구방법. 2009년도 4월28일-9월15일까지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웹통계 시스템에 신고된 신종인플루엔자 감염자 12,985명의 인구학적 특성, 감염일, 감염추정 지역 등을 분석하였다. 신종인플루엔자 발생률과 확산 설명 변수인 인구밀도, 학생구성비, 소득, 총 도로비율과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산임계일은 피스와이즈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주별 확산 양상(GIS/100,000명)은 시군구 행정동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227개 시군구 및 16개 시도의 주별 Moran’s I 계수를 각각 계산하였고 유의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1. 2009년도 우리나라 인구대비 신종인플루엔자 감염자 발생률(/100,000)은 27.1%로 남성이 16.4%, 여성이 10.7%를 차지하였다. 전체 신종인플루엔자 발생 건수 대비 성비는 남성 60.7%, 여성 39.3%였다. 그룹별로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 전체 감염자의 40.6%를 차지하였다. 특히 학교 개학이 시작되는 8월 말 기준으로 학생 발생건수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전국적 확산 임계일은 2009년 8월19일로 추정되었다. 신종인플루엔자 발생률과 설명 변수별 상관관계 분석결과, 인구밀도, 학생 구성비, 소득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 도로 비율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는 신종인플루엔자 발생률과 유의하였다. 2. 2009년도 6월말까지는 국외유입 감염자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7월 중순 부터 국내 감염자수가 국외 감염자수를 상회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충청북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되었다. 확산 임계일 이후 경기도 및 강원도 등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시군구별 Moran’s I 계수 측정 결과, 발생 초기 (4월26일-6월6일)를 제외한 모든 주(week)에서 발생률의 지역적 군집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공중보건위기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전환되는 30주(7월19일-25일)와 확산임계일 34주(8월16일-22일)에 Moran’s I 계수가 가장 높았다. 결론. 신종인플루엔자 초기 단계에서의 역학적 분석과 지역 확산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인구밀집 지역과 학생 그룹이 감염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별 지역 확산 양상과 감염병의 군집 시점을 확인함으로써 격리 등 전파 차단 조치 시점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신종감염병 발생시 공중보건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6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4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