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가야금산조와 전통 쟁 곡의 유파에 관한 연구

Title
가야금산조와 전통 쟁 곡의 유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on Schools of Gayagum Sanjo and Traditional Zheng Music
Author
등초
Alternative Author(s)
Deng Chao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가야금과 쟁은 각각 한국, 중국 민족의 정신을 담은 대표적인 전통악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역사나 문화와 함께 발전하여 내려온 악기이기 때문에 두 악기의 음악문화가 매우 흡사하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전통악기 가야금과 쟁의 기원 배경 및 악기의 종류, 구조 등 내용을 대비하여 알아보는 한편, 한국 가야금산조와 중국 전통 쟁 음악의 유파를 중심으로 유파의 분류, 형성, 음계와 조율, 장단과 박자, 음악 형태를 비교해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산조와 전통 쟁 곡의 유파 분류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가야금은 계승자에, 쟁은 지역별에 따라 여러 유파가 형성되어 인물 중심의 가야금산조 유파와 지역 중심의 쟁 유파로 형성에 대한 차이점을 가진다. 둘째, 가야금산조와 전통 쟁 곡의 각각 유파의 형성과 양상에서 나름대로 특징이 있지만 두 가지 공통점이 나타난다. 가야금산조의 유파가 형성된 19세기 말과 전통 쟁 유파가 형성된 청대 말기는 거의 같은 봉건사회가 마지막 붕괴과정에 들어서던 시기이었고 형성 과정에 연주자나 각 지방의 전통 음악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는 것이 비슷하다. 또, 가야금산조의 유파나 전통 쟁의 유파는 모두 유파별로 각기 다른 전통 예술 형식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연주 형식이 형성되고 여러 연주자나 지역 풍습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지니면서 유파로 형성된 것이다. 셋째, 가야금산조나 전통 쟁 곡은 모두 5음 음계 위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가야금산조에서는 조에 따라 일정한 5음의 음 높이를 사용하는데, 전통 쟁 유파의 5음 음계 즉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는 유파마다 악곡에서 사용하는 궁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5음의 높이가 유파별로 달라진다. 넷째, 가야금산조와 전통 유파 쟁 곡은 똑같이 다양한 장단과 박자형으로 음악을 표현한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가야금산조에서 사용하는 진양조(3/8)☓6박자, 중모리 12/4박자, 중중모리 12/8박자, 자진모리 12/8박자 등은 대부분 3박자 계통의 박자형이고 전통 유파 쟁 곡에서 항상 쓰는 4/4박자나 2/4박자는 모두 2박자 계통의 박자형이다. 이것은 한국 민속음악에서 3박자가 기본이며 2박자가 기본인 중국 전통음악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다섯째, 가야금산조와 전통 쟁 곡의 유파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야금산조의 유파는 명인에 따라 형성되었으며 여러 악장으로 짜여 한 곡으로 구성되는데, 한 곡 안에서 희로애락(喜怒哀樂)의 감정을 표현하면서, 변주나 선율의 장식음, 악조의 분위기 등 변화를 보여주는 장시간의 연주형태이다. 반면, 전통 쟁의 유파라는 것은 지역별에 따라 비슷한 음악 특징을 지니는 쟁 음악의 총칭인데 한 유파 안에서 많은 악곡들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연주하는 형태이다. 이상과 같이 한국 가야금산조와 중국 전통 쟁의 유파 중심으로 비교를 통해 유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33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8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