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 0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 노출실태 조사

Title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 노출실태 조사
Other Titles
Exposure assessment survey for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Author
최인석
Alternative Author(s)
Choi, In Seak
Advisor(s)
최성철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어린이 건강 보호 및 어린이 용품의 적정 관리를 위해 환경유해인자의 함유가능성이 높은 어린이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14종), 착색제(5종), 모노머(4종), 가소제(1종)등 총 24종에 대한 노출량 산정을 통한 노출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어린이용품에 대한 검출사례와 노출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경구 및 경피 노출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은 30개의 제품군에 대해 240개의 제품을 선정하였다. 중금속 분석결과 조사대상 6개 제품군별 50개 제품 모두에서 납(Pb), 카드뮴(Cd), 크롬(Cr), 안티몬(Sb), 바륨(Ba), 베릴륨(Be), 코발트(Co), 구리(Cu), 니켈(Ni), 아연(Zn), 주석(Sn), 수은(Hg)은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외 As(비소), 셀레늄(Se)은 제품들에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착색제의 경우, 조사대상 총 15개 제품군별 120개 제품에 대한 착색제 5종 (CI Basic violet 003, CI Diperse Orange 003, CI Acid violet 049, CI Dieperse yellow 003, CI Dieperse Red 003) 함유량의 시험결과 검출된 제품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노머(4종) 분석결과 조사대상 총 7개 제품군별 73개 제품에 대해 2개 제품군 4개 제품에서 Bisphenol-A와 Styrene이 검출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소제(1종)는 조사대상 총 11개 제품군별 80개 제품에 대한 가소제(1종) 함유여부 분석결과, 8개 제품군 18개 제품에서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phosphate, TPP)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함유량을 바탕으로 전이량 분석결과, 경구경로는 악세사리류 중 반지에서 1개 제품에 대해 중금속이 검출되었고, 경피경로는 악세사리류 6개 제품에 대해 중금속이 검출되었으며, 다른 제품에서는 모두 불검출 되었으며 모노머와 가소제의 경우 전이량 분석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중금속 전이량이 확인된 제품을 대상으로 위해도 결정까지 본 연구에서 수행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2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2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신소재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