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9 0

한·일 한자어 접미사 「風」과 「式」의 어구성과 의미적인 결합 관계

Title
한·일 한자어 접미사 「風」과 「式」의 어구성과 의미적인 결합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mantic Combination of the Suffixes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Focused on 「fu, 風」 and 「shiki, 式」
Author
박현수
Alternative Author(s)
Park, Hyeon Soo
Advisor(s)
이강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공통적으로 ‘양식’이나 ‘스타일’의 뜻을 지니는 일본어의 접미사 「風」과 「式」, 그리고 한국어의 접미사 「風」과 「式」을 어구성적 측면과 의미적 결합 측면에서 살펴보고 각 접미사들의 의미 용법을 분석하고자 계획된 논문이다. 그에 따라 「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中納言과 NAVER 뉴스 기사를 활용하여 용례를 수집,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어구성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風」이 연체 수식 조사를 취하는 용례가 전체 용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 어기 N1과 후행 어기 N2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본어와 한국어의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N1에 고유명사가 오는 용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의미적인 결합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먼저 일본어의 경우 N1에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어기 분류 항목으로 지명, 인물, 건축, 시대, 장소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지명과 인물 항목이 높은 사용 빈도를 보여주었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지명, 음악, 인물, 미술, 시대 항목 순으로 그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N2의 어기 분포를 살펴보면 일본어의 경우 음식, 건축, 패션, 인물, 상태 항목 순이며 음식과 건축, 패션 항목이 전체 용례 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음악, 패션, 건축, 미술, 연극·영화 항목 순이며 음악, 패션 건축 항목이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風」과 「式」은 모두 특정한 방식이나 양식, 스타일 등의 의미를 첨가하지만 일본어에서 「風」을 사용하는 것은 직감적으로 그러한 분위기 또는 양식이 느껴질 때이며 「式」을 사용하는 것은 그것의 구조 또는 방식을 나타낼 때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4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일본언어·문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