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슈만의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와 E. T. A 호프만의 『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의 구조적 연관성에 관한 분석

Title
슈만의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와 E. T. A 호프만의 『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의 구조적 연관성에 관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obert Schumann’s Kreisleriana Op. 16 and E. T. A Hoffmann’s Lebensansichten des Kater Murr
Author
김진현
Alternative Author(s)
Kim, Jin Hyeon
Advisor(s)
임종필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본 논문은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크라이슬레리아나 Op. 16』(Kreisleriana, 1838)와 E. T. A 호프만(Ernst Theodor Amadeus, 1776-1822)의 『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Lebensansichten des Katers Murr, 1819-1822)의 구조적 연관성에 관한 분석의 연구이다. 이 곡은 호프만의 소설 『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이하『수고양이 무어』라고 표기함)에서 영향을 받았다. 호프만의 소설 『수고양이 무어』는 ‘고양이 무어’의 이야기와 ‘크라이슬러’라는 사람의 이야기가 교차되며 전개된다. 두 이야기는 표면적으로는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내면적 측면에서 ‘이상 세계에 대한 지향’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진다. 즉, 이질적으로 보이는 것들에 공통 속성을 교묘하게 숨겨 놓는 ‘칼로풍 기법’이 이 소설의 특징인 것이다. 슈만 또한 많은 작품에서 자신이 만들어 낸 이중자아인 ‘플로레스탄’(Florestan)과 ‘오이제비우스’(Eusebius)를 음악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중 8개의 개별곡으로 이루어진 『크라이슬레리아나』에도 이중자아가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이중자아는 장·단조로 묘사되는데, 단조는 g단조와 딸림조인 d단조, 그리고 버금딸림조인 c단조로 나타나며, 장조는 B♭장조로 나타난다. 이는, 제 1곡(d단조), 제 3곡(g단조), 제 5곡(g단조), 제 7곡(c단조)에는 격렬하고 역동적인 성격의 ‘플로레스탄’이 등장하고, 제 2곡(B♭장조), 제 4곡(B♭장조), 제 6곡(B♭장조)에는 사색적이고 몽상적인 성격의 ‘오이제비우스’가 등장함으로써 이중자아가 교차되며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 제 8곡(g단조)은 제 1곡부터 제 7곡에서 나타나는 음악적인 특징들이 두루 종합적으로 나타나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크라이슬레리아나』에서 두 조성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점은 『수고양이 무어』에서 ‘고양이 무어’와 ‘크라이슬러’의 두 이야기가 교차되는 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수고양이 무어』의 주인공인 ‘크라이슬러’의 이중적인 성향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처럼 곡의 전체적인 흐름에서 장·단조로 나타난 두 성격은, 개별 곡의 형식 내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때 단락 및 악절 간의 동기, 텍스처, 조성, 작곡 기법 등에서 대조성이 두드러지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장·단조로 묘사되는 이중자아의 두 성격의 교차 속에서 찾은 공통점 및 연관성을 근거로 슈만의『크라이슬레리아나』에도 ‘칼로풍 기법’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호프만의 소설 『수고양이 무어』와 슈만의 『크라이슬레리아나』를 ‘칼로풍 기법’이라는 구조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자 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5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