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0

시네마에서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Title
시네마에서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Author
정찬철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21세기 뉴 미디어 시대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는 영화가 과거, 즉 시네마 시대와 다른 모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변화된 영화체계를 일컫는 용어인 포스트시네마가 기술적·산업적 측면에서 필름이 중심이었던 시네마 시대와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는 지를 설명하고 그리고 시공간을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시네마 시대의 영화언어와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시네마 시대에서 포스트시네마 시대로의 전환에 관한 역사적 그리고 이론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포스트시네마의 ‘포스트’는 기술적으로, 물질적으로, 문화적으로 그리고 개념적으로 익숙한 시네마 시대의 영화적인 것의 소멸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포스트시네마에 관한 기존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로 인해 영화역사가 포스트시네마 시대로 전환되었다는 견해를 주장하기 위해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로의 기술적·산업적 전환 그리고 그에 따른 이미지의 존재 방식의 변화와 시·공간적 개념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포스트시네마의 개념을 범주화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한정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각 장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논의를 살펴볼 것이다. 제2장「포스트시네마의 시대」에서는 필름의 종언과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의 등장이라는 기술적 변화에 의한 시네마에서 포스트시네마 시대로의 전환에 관한 논의를 매체사적인 관점에서 다룸으로써 포스트시네마의 역사화와 이론화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3장은「디지털 이미지 생산시대의 지표성에 관하여」에서는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이미지 생산 조건에서 지표성의 문제를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제4장「포스트시네마의 이미지들」은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이미지들이 시네마의 이미지와 어떻게 다른지를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이미지들을 개념화하기 위해서 본 장은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에 의해 사실-이미지와 CG-이미지의 결합으로 만들어지는 제3의 이미지를 ‘합성-이미지’라 부르기를 제안한다. ‘합성-이미지’의 정의와 함께 영화 분석을 통해 본 장은 합성-이미지의 공간적인 특징이 필름 이미지와 어떻게 다른지 볼 것이며, 디지털 이미지 생산 조건이 기존의 이미지와 관객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본 장의 목표는 포스트시네마의 이미지들의 존재론을 탐구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제5장「포스트컨티뉴어티」에서는 ‘포스트컨티뉴어티’라는 포스트시네마의 시공간 구성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영화의 시공간 구성 방식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로의 전환이 영화를 완전히 바꾸었는지 아니면 여전히 ‘시네마’라고 지금까지 불러왔던 것의 확장인 지를 가장 중요하게 논의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포스트시네마는 시네마 시대의 영화적인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고 본다. 포스트시네마 시대 시네마의 전통 안에서 만들어지는 영화들이 여전히 계속해서 등장할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이 구성하고자하는 포스트시네마의 개념은 영화의 종말 혹은 마노비치의 ‘회화로의 귀환’이라는 역사적 순환이 아니다. 그 이유는 포스트시네마는 필름과 다른 시공간성 그리고 지표성 개념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며, 이는 새로운 이미지의 등장으로만 끝나지 않고 쇼트와 쇼트가 연결되는 방식 그리고 프레임의 작동 방식이라는 영화 언어의 근원적 지점에서 시네마 시대와의 단절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모랭이 시네마토그라프에서 시네마로의 변신에서 스펙터클 양상의 차이를 만드는 영화적 테크놀로지에 주목했던 것처럼‘필름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이라는 기술적 조건의 변화가 시네마에서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을 이끈 결정적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7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5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