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0

Magnesium sulfate를 전투여한 토끼에서 Rocuronium 에 의한 깊은 근이완시 sugammadex 의 길항효과

Title
Magnesium sulfate를 전투여한 토끼에서 Rocuronium 에 의한 깊은 근이완시 sugammadex 의 길항효과
Author
강운석
Advisor(s)
김교상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Magnesium sulfate (MgSO4)는 임상에서 자간증, 고혈압 및 부정맥의 치료에 사용되며, 운동신경 말단부에서 아세칠콜린의 방출을 줄이고, 후접합부에서의 탈분극을 억제하며, 근섬유에도 직접 작용하여 근이완을 촉진시킨다. 자간증 치료를 위한 사용 목적상 혈중 마그네슘 농도를 2.0 – 3.5 mmol/L의 유지를 요하며, 이로 인해 rocuronium의 근이완 효과가 연장된다. Sugammadex는 rocuronium이나 vecuronium같은 근이완제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근이완 효과를 신속하고 완전히 길항하는 약제이며, acetylcholinesterases와 무관하여 그에 따른 부작용을 피할 수 있고, 근이완의 깊이와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길항 할 수 있다. 깊은 근이완 시에 양호한 수술 시야를 이루면서도 복압을 감소시켜 주어서,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켜주고 장기능을 빨리 회복시켜주며, 미세수술 시에도 수술 시야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깊은 근이완 상태에서 고혈중 마그네슘 농도 (2.0 – 3.5 mmol/L)로 인하여 근이완이 연장된 경우에서 sugammadex에 의한 길항효과에 대해 알려진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이완제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적은 동물실험을 대상으로 rocuronium의 깊은 근이완 시 고혈중 마그네슘 상태가 sugammadex의 길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자 하였다. 토끼 28마리를 무작위로 7마리씩 4 군으로 나누어 sevoflurane으로 마취 유도 및 유지를 시행하면서, 실험시작 전에 대조군에서는 생리식염수 5 ml/kg을 20분 동안에 정주하였고, 실험군 (2 mg군, 4 mg군 및 8 mg군)에서는 MgSO4 도입용량 (150 - 200 mg/kg)을 20분 동안에 정주하고, MgSO4 유지용량 (25 mg/kg/h)을 지속정주하며, 목표 혈중 마그네슘 농도 (2.0 – 3.5 mmol/L)를 유지하였다. 각 군에 rocuronium 0.6 mg/kg을 정주하여 근이완을 유도하였으며, post-tetanic count (PTC)가 1 – 2개 관찰되는 깊은 근이완 상태에서 대조군에는 sugammadex 4 mg을 정주하였고, 실험군에는 sugammadex 2 mg (2 mg 군), 4 mg (4 mg 군) 및 8 mg (8 mg 군)을 각각 정주한 후 연축의 회복을 기록,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혈중 마그네슘 농도는 실험 종료까지 대조군 (0.53 mmol/L)에 비해 실험군 (2.1 mmol/L)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 < 0.001), MgSO4투여량은 평균 590 – 655 mg이었다. 2) Rocuronium정주 후 작용발현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빨라졌고, PTC 1 – 2개 나오는 시간은 유의하게 연장되었다 (P < 0.001). 3) Sugammadex정주 후 사연속자극의 비가 90% 회복시간, 첫 연축의 75% 및 95% 회복시간은 2 mg군보다 다른 군들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대조군, 4 mg군 및 8 mg군 간에는 회복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고혈중 마그네슘 토끼에서 rocuronium에 의한 깊은 근이완을 sugammadex로 길항 할 때에 sugammadex의 용량에 따라 회복에는 차이가 있으나, MgSO4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4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3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