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540

알코올가용성이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수준 분석

Title
알코올가용성이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수준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 of Alcohol Availability on Drinking Behavior: A Multilevel Analysis on Urban Regions
Author
신영전
Keywords
음주행태; 알코올가용성; 다수준 분석; Drinking behavior; Alcohol availability; multilevel analysis
Issue Date
2018-06
Publisher
한국사회정책학회
Citation
한국사회정책, v. 25, no. 2, page. 125-163
Abstract
음주와 관련한 사회적, 보건학적 문제가 심각하다. 음주행태는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에도 지역사회 내 주류 판매점들이 개인의 음주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알코올 관련 규제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음주여부와 고위험 음주여부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수준의 데이터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응답 자료를 활용했으며, 지역수준의 데이터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소득 수준 등을, 지역수준의 변인으로는 기초생활수급자 수, 조 이혼율, 1㎢당 주점 수, 1㎢당 소매점 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학력, 높은 월 가구소득,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고위험 음주 여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 우울감과 같은 개인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의 변인들을 보정 후 지역수준의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1㎢당 주점 수, 소매점 수,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에게서 현재 음주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위험 음주 여부에 있어서는 지역변인으로 조 이혼율만이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성, 연령,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층화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음주 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60세 이상 집단에서 소매점과 전체 알코올가용성 수가 많은 지역에 거주할수록 고위험 음주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정책 뿐만 아니라 지역 수준에서 알코올 가용성 환경을 고려한 알코올 규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Social and health problems related to drinking are serious. Drinking behavior is affected not only by personal factors but also by environme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lcoholic beverage stores in community influence the drinking behaviors of individuals after adjusting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provide it as basic data for alcohol related regulatory polici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rinking behavior, we conducted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high-risk drinking and current drinking as 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level data provided by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respondents of urban residents, and regional level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used as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the number of basic living allowances, divorce rate, and the number of pubs were used as community level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fter controlling all variables, the number of bar, retail per 1㎢ in residential area effect on current drinking. But, they are not effect on high risk drinking. In the high risk drinking, only the divorce rate effect on drink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ratified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urrent drinking. Bu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retail stores and the total alcohol availability, the higher risk drinking behavior in the 60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ies aimed not only on individuals but also on the local environment are necessary.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6688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8874
ISSN
1226-0525
DOI
10.17000/kspr.25.2.201806.12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알코올가용성이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수준 분석.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