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 0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Title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Experience Impact of Royal Culture Festival Programs
Author
이훈
Keywords
문화유산축제; 축제체험; 궁중문화축전; 장소성; 일탈성; 교육성; 대동성; 신성성; Cultural heritage festival; Festival experience; Royal culture festival; Placeness; Escape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국관광학회
Citation
관광학연구, v. 42, no. 2, page. 103-119
Abstract
과거에 문화재와 문화유산관광지는 보존의 차원에서 주로 정적인 관광장소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활용정책을 펼치고 있어 여러 문화유산 관광지에서 체험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목적은 문화유산축제인 궁중문화축전의 두 가지 체험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축제체험속성을 검증하고 체험속성과 만족 및 재방문 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2017년 제3회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중 체험 성격이 강한 ‘수라간 시식공감’과 ‘1750시간여행 그날’ 두 가지 프로그램 참가자 277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 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성, 일탈성, 대동성, 신성성, 장소성 5가지 축제체험속성요인들이 추출되었고 모두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장소성이 가장 강한 축제체험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일탈성, 교육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였다. 참가자를 대상으로 축제체험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이 무엇인지 묻는 선택형 질문에는 장소성, 교육성, 일탈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체험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체험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해본 결과 ‘수라간 시식공감’에서는 장소성, 일탈성, 교육성, 신성성, 대동성의 순서로, ‘1750시간여행 그날’에서는 장소성, 일탈성, 대동성, 교육성, 신성성의 순서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축제인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 체험속성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화유산을 활용한 체험형 축제의 개발과 기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문화유산 활용으로 관광객 참여를 증가시켜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의 균형을 맞춘 관광상품으로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ributes of festival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festiv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wo programs of the Royal Culture Festival. In this study, 277 survey samples taken from participants in the two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ve attributes labeled Education, Escape, Togetherness, Sacredness, and Placeness were extracted, and all of them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mong them, Placeness was revealed to be the strongest attribute of festival experience, followed in order by Escape, Education, Sacredness, and finally, Together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attributes of festival experience on satisfaction, “A Taste of Royal Cuisine” was ranked in order of Placeness, Escape, Education, Sacredness, and Togetherness, while “Time Travel to 1750” was ranked in order of Placeness, Escape, Togetherness, Education, and Sacrednes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framework for the planning of experience programs for cultural heritage festivals and suggest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xperiential festivals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is aimed to help balanc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tourists with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7315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7616
ISSN
1226-0533
DOI
10.17086/JTS.2018.42.2.103.1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