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7 4155

반추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itle
반추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umination on Stress Respons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Author
조한익
Keywords
반추; 자책; 숙고; 심리적 경직성(심리적 유연성); 대처 유연성; 스트레스 반응; 억제효과; rumination; brooding; reflection; psychological inflexibility(psychological flexibility); coping flexibility; stress response; suppression effect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Citation
상담학연구, v. 18, no. 6, page. 37-6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이 반추의 두 하위유형(자책과 숙고)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334명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 수용-행동 질문지 Ⅱ(K-AAQ-Ⅱ), 대처 유연성 척도(CFS), 스트레스 반응척도 단축형(SRI-short for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책과 대처 유연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변인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책, 숙고,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 간의 구조적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은 자책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고 숙고와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는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자책과 숙고 사이에 부적 억제효과와 상호적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act as mediators between two subtypes of rumination(brooding and reflection) and stress response.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 Korean Acceptance-Action Questionnaire Ⅱ, Coping Flexibility Scale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were administrated in 334 university students. First, except that the correlation of brooding to coping flexibility was not significan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foun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brooding, reflection,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that affects stress response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And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coping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ooding and stress response,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and stress response. Third, negative suppression effect and reciprocal suppression effect were observed between brooding and reflection.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0858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519
ISSN
1598-2068
DOI
10.15703/kjc.18.6.201712.3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반추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경직성과 대처 유연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