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0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itle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Male Students’ Perceived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uthor
조한익
Keywords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자기격려; 학교생활적응;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self-encouragement; Adaptation to School Life
Issue Date
2017-06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 24, no. 6, page. 1-2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남자고등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학교생활적응, 자기격려를 측정하였고 SPSS 22.0와 SPSS Macro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학교생활적응, 자기격려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는 부의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남자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는 부의 문제형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사회적 적응, 정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셋째, 남자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는 모와의 개방형 및 문제형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의적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남자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부ㆍ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기격려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self-encourage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high school male students. For the study, 252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ncouragemen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First, 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encourag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variables. Second,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male students’self-encouragement tend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academic, social and affective adjustment). And high school male students’self-encouragement tend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social and affective adjus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male students’self-encouragement tend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academic, social and affective adjustment).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897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4369
ISSN
1229-6988
DOI
10.21509/KJYS.2017.06.24.6.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