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치원-
dc.date.accessioned2019-05-09T05:56:39Z-
dc.date.available2019-05-09T05:56:39Z-
dc.date.issued2017-10-
dc.identifier.citation대한건축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 37, No. 2, Page. 350-351en_US
dc.identifier.issn2287-5786-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27375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3646-
dc.description.abstract건물의 Life Cycle 동안 소비하는 에너지의 소비량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선진국에서의 건물 에너지 사용량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40퍼센트, 전기 사용량의 70퍼센트, 용수 사용량의 13%, 그리고 이산화 탄소 배출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USGBC Green Building Facts 2015)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은 미국 그린 빌딩 이사회(USGBC)를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 성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주요 시장 변화와 지속 가능한 건물에 대한 지각 변화와 더불어 정부 정책과 다양한 재정적 인센티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에너지 스타, LEED, BREEAM등 친환경 인증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USGBC Statistics 2015, Green Market Size: McGraw Hill Construction 2012).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으로 인해 새로운 건축뿐 아니라 기존 건물의 재건에도 커다란 관심이 쏠려 있다. 기존 건물은 선진국들의 경우, 총 건축물의 98%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건물의 에너지 성능에 대한 엄격한 규제와 대책이 있기 전에 지어진 건물들이 대다수이다. 결과적으로 기존 건물을 재정비하려는 시장의 움직임은 강력하며 기존 건물을 재개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설계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건축물의 존속 가능성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건물을 대상으로 한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린 리모델링 사업 활성화 및 저해요인 등 다양한 영향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건축학회en_US
dc.subject친환경en_US
dc.subject그린 리모델링en_US
dc.subjectSustainableen_US
dc.subjectGreen Remodelingen_US
dc.title국내 그린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 분석en_US
dc.title.alternativeDrivers and Barriers for Green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in Kore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제2호-
dc.relation.volume제37권/ 제68집-
dc.relation.page350-351-
dc.relation.journal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dc.contributor.googleauthor안치원-
dc.relation.code2017018972-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IVISION OF ARCHITECTURE-
dc.identifier.pidabeah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