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문일-
dc.date.accessioned2019-04-29T01:18:21Z-
dc.date.available2019-04-29T01:18:21Z-
dc.date.issued2016-10-
dc.identifier.citationKSCE 2016 CONVENTION PROGRAM, Page. 332-333en_US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07658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2823-
dc.description.abstract혐기성 소화 유출수의 특성상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와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고농도의 암모늄과 높은 알칼리도로 인한 자체 FA(Free ammonia)생성으로 부분질산화를 위한 약품투입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호기성 입상화 슬러지 공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기성으로 입상화된 미생물 군집을 배양하여 암모늄 농도에 따른 부분질산화 효율을 평가하였다. 암모늄의 농도 450 mg N/L와 950 mg N/L 에서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 암모니아성 질소의 감소 경향은 암모늄 농도에 따라 각각 6시간, 18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 변화율 변동이 거의 없어 안정화 단계라고 판단되는 시간까지 관찰하였으며 450 mg N/L에서는 80시간 950 mg N/L에서는 100시간 까지 관찰하였다. 호기성 입상화슬러지를 이용한 부분질산화시에 암모늄 농도가 다르더라도 유기물과 질소는 크게 변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 각각의 암모늄의 농도에서 아질산성 질소가 축적되는 시간 기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아질산의 축적총량은 농도가 높은쪽이 더 많이 축적되며 암모늄의 농도가 낮을수록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시간이 단축된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연구는 환경부의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사업(유기성폐자원 에너지화 사업단)에서 지원 받았습니다 (과제번호:2013001580002).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토목학회en_US
dc.subject혐기성소화en_US
dc.subject음식물쓰레기en_US
dc.subject부분질산화en_US
dc.subject호기성 입상화en_US
dc.subject생물학적 폐수처리en_US
dc.title호기성 입상화와 부분질산화를 이용한 혐기성 소화조 유출수처리en_US
dc.title.alternativeTreatment of Anaerobic Digester Effluent using Aerobic Granulation and Partial Nitrifica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332-333-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민경-
dc.contributor.googleauthor최봉호-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원배-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문일-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moonilki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