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0 0

오피스 건축물의 바닥공조시스템 사례분석 및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오피스 건축물의 바닥공조시스템 사례분석 및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ases Analysis and Study on Improvement Methods of UFAD Systems for Office Buildings
Author
박기범
Alternative Author(s)
Park, Ki Bum
Advisor(s)
정재원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오피스 시설 바닥공조시스템의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 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외기량 확보 부족과 외기냉방의 부족으로 인해재실자의 업무 쾌적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둘째, 취출구의 선정 배치에 따라 실내기류와 온도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쾌적성을 해치기도 한다. 셋째, 내, 외주부 취출구 제어성의 부족으로 인해 부하변동에 따른 부하처리가 부족하여 온도편차에 따른 온도불균형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닥공조시스템의 공조방식에서는 신선외기를 충분히 공급 할 수 있는 공조기를 계획하여 충분한 외기냉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시스템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취출구는 기류분포가 나빠지지 않도록 배치거리와 부하밀도에 따라 배치하여야 하며, 개별제어기능이 가능한 취출구를 선정하여 온도편차 방지와 원활한 기류분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내, 외주부 제어는 취출구를 그룹 및 중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외조기, 존공조기, 통합공조기의 자동제어는 각 공조기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오피스시설 공조방식 중 바닥공조시스템 방식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문제점 제시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바닥공조 시스템은 실내 쾌적도 향상, 에너지절약, 친환경성, 층고절감, 시공 편리성 이라는 주요한 특징으로 향후 적용 사례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바닥공조시스템의 취출구, 공조기기 및 자동제어 등의 표준화 및 체계적인 기술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키워드 : 바닥공조시스템, 외기냉방, 통합공조기; This study has a certain purpose for suggestion of improvement methods by indicating a problem and cases analysis through UFAD systems for office buildings. According to cases analysis, at first, there are decline problems in a comfortable work place environment for occupants due to a lack of securing a minimum outside air volume and an outdoor air cooling. Second, according to a position of air diffuser, it affects a room air motion and an optimum temperature profile, moreover, it declines a comfortable work place environment. Third, due to a lack of controllability of air diffuser in a perimeter and indoor environment, there is a lack of load control as a load change, finally it triggers a temperature imbalance with temperature anomaly. For those reasons,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methods. First, in case of air-conditioning system in UFAD, it suggests effective and economical systems with conditioning equipment enable to supply an enough fresh-air flow and outdoor air cooling. Second, in case of air diffuser, it has to be arranged to keep the air flow distribution depending on arrangement distance and load density, furthermore, it prevents the temperature anomaly and permits the air flow distribution smoothly by selecting the air diffuser with an individual control system.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omposes a system to control each group and center for the perimeter and indoor environment in case of air diffuser, beside that, in case of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outdoor fresh conditioning equipment, zone conditioning equipment, and integrated conditioning equipment, it composes a system to control each conditioning equipments. Key words : UFAD, outdoor air cooling, integrated conditioning equip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9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1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