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9 0

태동과 관련된 태아 반응성에 따른 정상 태아의 태아심박수 매개변수와 역학변수의 분석

Title
태동과 관련된 태아 반응성에 따른 정상 태아의 태아심박수 매개변수와 역학변수의 분석
Other Titles
Analyses of FHR parameters and dynamics in normal fetuses according to the reactivity related to fetal movement
Author
최은샘
Alternative Author(s)
Choi, Eunsaem
Advisor(s)
호정규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비수축검사(Nonstress test, NST)는 태아의 안녕상태를 확인하는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검사이다. NST에 기록된 기본 태아 심장박동수(baseline fetal heart rate, baseline FHR) 태아 심장박동의 진폭(Amplitude), 간격변이도(Mean minute range), 태아심장박동의 가속(Acceleration) 및 감속(Deceleration)등을 포함한 태아 심장박동수의 선형 계수들을 해석함으로써, 태아의 안녕상태를 예측하고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처치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수축검사는 민감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근사엔트로피(Approximate entropy), 표본엔트로피(Sample entropy) 그리고 상관차원(Correlation dimension)과 같은 비선형지표는 이러한 비수축 검사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방법이다. 비선형 지표는 카오스 정량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전에 발표된 태아 심장박동의 비선형 지표와 태아의 건강상태에 대한 여러 연구들을 통해서, 건강한 태아일수록 그렇지 않은 태아에 비해 태아심장박동의 비선형지표가 더 큰 값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출산 후 정상인 것으로 확인된 태아의 비수축검사를 대상으로 하여, 태아 심장박동수의 비선형 지표와 기존의 선형 계수들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수축검사와 함께 태아의 안녕상태를 추측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태동과 비선형 지표와 선형 계수들 간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시행한 3295개의 비수축검사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 비수축검사는 임신 30주에서 42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출산 후 정상인 것이 확인된 단태아 임신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수축검사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Reactive(R)군과 Nonreactive(NR)군으로 나누었고, 이 두 군을 다시 태동(Fetal movement, FM)의 횟수에 따라 다시 각각 세 군으로 나누었다; Group 1 (NR, FM=0), Group 2 (NR, FM=1), Group 3 (NR, FM>=2) and Group 4 (R, FM=0), Group 5 (R, FM=1), Group6 (R, FM>=2). 각 그룹 간에 신생아 예후와 산모의 나이, 산과력 등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비수축검사의 데이터가 출산 후 정상임이 확인된 태아의 태아 심장박동 데이터였음에도 불구하고, NR군과 R군의 태아 심장박동수의 선형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NR 군에서는 Group 3이, R군에서는 Group 1이 가장 높은 선형 계수 값을 보였으며 태동과 태아 심방박동수의 선형 계수의 상관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반면, 비선형지수는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선형계수와는 달리 NR군이 R군에 비해 높은 값을 가졌다. 또한, 태동이 같은 R과 NR군을 비교하였을 때, 선형 계수들은 모두 R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비선형 지수는 이러한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을 뿐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되지는 않았다. 뿐만 아니라 각 그룹의 비선형지수의 값은 이전 연구들에서 밝혀진 정상 값의 범주 안에 있었다. 뿐만 아니라, 뿐만 아니라, 태아 심장박동수의 비선형지표들은 태동과 관련하여 어떠한 경향성도 보이지 않았으며, 상관계수 역시 유의하지 않았다. NST의 결과와 태동의 횟수와 관계없이 각 그룹간의 신생아 예후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비선형 지표가 기존의 선형 계수에 비해 신생아 예후와 더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선형 지표가 비수축검사의 단점인 낮은 민감도와 위음성 결과를 보완해줄 수 있는 보조 적인 검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A nonstress test(NST) is a common prenatal test to assess the fetal well-being by fetal heart rate(FHR) monitoring. By analyzing the linear parameters of the NST, mean baseline FHR, amplitude, mean minute rage and the number of FH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t is able for clinicians to evaluate the fetal condition. Thanks to the NST, the immediate intervention can be taken at the appropriate time, especially in case of a high-risk pregnancy or during the labor. However, the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results occur in the NST. Low sensitivity has been the major drawback of the NST as a screening test. The nonlinear indices, approximate entropy, sample entropy, and correlation dimension, of FHR, are the method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of the NST. The nonlinear indices quantify the complexity and irregularity of the system. Many studies on nonlinear indices of FHR and fetal well-being have already been published that normal fetuses have higher nonlinear indices than those who were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ventional linear FHR parameters and the nonlinear indices of FHR in fetuses proven to be normal after the delivery. This study also wanted to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or tendency between the fetal movements and the linear and nonlinear indices have. We surveyed 3295 NST data using a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ll subjects were singleton pregnancies between 30 and 42 weeks of gestation and the fetuses were proven to be normal after the delivery. Firs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result of the NST. Second, each two groups, nonreactive group(N) and reactive group(R), were divided again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etal movement (FM); Group 1 (NR, FM=0), Group 2 (NR, FM=1), Group 3 (NR, FM>=2) and Group 4 (R, FM=0), Group 5 (R, FM=1), Group6 (R, FM>=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neo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each group. Then, between each group, the linear FHR parameters and nonlinear indices were compared from one ano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6 groups. Even though the NST data were from the normal fetus, comparing the linear FHR parameters (mean baseline FHR, amplitude, mean minute rage and the number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between the NR and R group, the tw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linear FHR parameters of group3 were the highest among NR groups, and FHR parameters of group6 were the highest among the R group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number of fetal movement and FHR paramet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onlinear indi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R and R group. But, contrary to the linear parameters, nonlinear indices were higher in NR group than the R group. Also, when the groups of the same number of the fetal movement were compared, the linear parameters of the reactive group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reactive groups but the nonlinear indices had no such consistency. In addition, the nonlinear indices of this study showed closely match to the nonlinear indices of the normal fetus known from other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Unlike the linear parameters, the nonlinear indices showed no tendency in relation to fetal movem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FM and nonlinear indi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ing the neonatal outcome among 6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nonlinear indices were more consistent with the perinatal outcome than the linear parameters. Therefore, throughout this study, we believed that the nonlinear indices will be helpful adjunctive methods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NST, reducing the false negative resul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6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