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오영-
dc.contributor.author노승재-
dc.date.accessioned2019-02-28T03:02:57Z-
dc.date.available2019-02-28T03:02:57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9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035en_US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배경 : 바렛식도는 식도선암의 전암성 병변으로 알려져 있는 질환으로 서양에서는 점차 식도선암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동양에서는 비교적 낮은 발생률로 인해 중요도가 낮게 인지되고 있으며 연구도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아시아에서도 바렛식도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 목적 : 최근 생활습관의 서구화가 진행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질환도 서구화되고 있으며, 향후 바렛식도, 식도선암 유병율 또한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바렛식도의 위험인자들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외에서 비만도와 더불어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해 내장지방과 피하지방, 위-식도접합부위지방의 분포와 바렛식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어, 이에 대해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방법 : 2014년 1월부터 2017년 6월 사이에 서울 한양대학교병원을 방문하여 소화기내과 전문의에게 위내시경을 시행 받은 후 바렛식도를 진단받은 4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진단 전후 3년 이내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받았으며, 다른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20명을 선정하였다. 정상대조군으로는 선정된 바렛환자군과 성별이 같으며, 나이가 ±3살 이내로 비슷하며, 마찬가지로 기저질환이 없고, 내시경적으로 특이소견이 없으며, 내시경 시행 전후 3년 이내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를 일대일로 짝지어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선정된 환자의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상에서 전체지방량, 피하지방량, 복부지방량, 위-식도접합부위 지방량, 복부둘레, 비만도를 측정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한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 : 바렛식도군과 정상대조군간 총지방량(P = .313)과 피하지방(P = .756), 내장지방(P = .057) 및 비만도(P = .66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위식도접합부위 지방량은 바렛식도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 .031) 복부둘레도 바렛식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48) 결론 : 복부둘레와 위-식도접합부위 지방량은 바렛식도 환자 군과 정상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바렛식도의 병태 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복부비만과 바렛식도의 상관관계-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노승재-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