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 0

담낭암 환자에서 E2F3 발현의 예후인자로써의 의미

Title
담낭암 환자에서 E2F3 발현의 예후인자로써의 의미
Other Title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E2F3 Expression in Postoperative Patients with Gallbladder Cancer
Author
장성호
Alternative Author(s)
JANG, Sung Ho
Advisor(s)
최동호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E2F3, a downstream regulator of the RB pathway, is an important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the cell cycle. Expression of E2F3 and regulation of Retinoblastoma pathway are involved in the carcinogenes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E2F3 affects the survival of gallbladder cancer(GBC) and cancer staging. Tissue microarrays (TMA) were prepared for gallbladder tissue in 112 patients with GBC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E2F3 was scored and compared with laboratory tests including TNM stage, tumor marker, and postoperative survival time.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GBC was 63.19 years (range: 28-90), 42 males (37.5%) and 70 females (62.5%). Survival analysis showed a strong correlations with positive E2F3 response (HR 3.081; p=0.0131). And prothrombin tim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urvival period (HR 0.984; 목적 : 최근 연구에 의하면 소세포폐암이나 전립선암과 같은 악성 종양에서 유용한 생체 표지자로 암 진단 유전자인 E2F3가 제안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암표지자로써의 E2F3의 역할을 보여 주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E2F3의 발현과 암 환자의 예후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E2F3의 발현이 담낭암 환자의 생존기간과 담낭암의 병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한양대학교병원에서 담낭암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담낭조직에 대해 조직 마이크로어레이(tissue microarrays, TMA)를 제작하였다. E2F3의 면역 조직 화학 염색 후에 반 정량적 점수 체계에서 점수를 매겼으며, TNM stage와 tumor marker를 포함한 laboratory test, postoperative survival time 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담낭암 환자 집단의 평균 나이는 약 63.19세(범위:28-90)이었고, 남자 42명(37.5%), 여자 70명(62.5%) 이었다. 생존 분석 결과 담낭암 환자군에서 Prothrombin time(%) (HR 0.984; p=0.0255), Hemoglobin count(HR 0.726; p=0.0139), Metastatic stage I(HR 6.727; p=0.007)와 더불어 E2F3 면역 양성 반응(HR 3.081; p=0.0131)과 생존기간이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 연구에서 E2F3의 면역염색 양성일 때 수술 후 생존기간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E2F3를 담낭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써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추후 다기관, 대규모 전향적 연구를 통해 담낭암 환자에서 E2F3의 종양 표지자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 E2F3를 이용한 표적치료제 등의 개발을 통해 담낭암 환자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0.0255), hemoglobin count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urvival period (HR 0.726; p=0.0139) and metastatic(M) stage I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urvival period (HR 6.727; p=0.0007). Here, we found that positive immunostaining of E2F3 is correlated with poor patient survival outcome in the GBC patients. E2F3 expression showed close relationship with survival outcomes of GBC patients. Further careful well-designed study for E2F3 as a tumor marker for GBC should be done with multi-center studies for common application of E2F3.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9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