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강민호 | - |
dc.contributor.author | Ryu, So Jung | - |
dc.date.accessioned | 2019-02-28T03:02:54Z | - |
dc.date.available | 2019-02-28T03:02:54Z | - |
dc.date.issued | 2019-02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88 | - |
dc.identifier.uri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767 | en_US |
dc.description.abstract | 목적 IOLMaster 상 낮은 SNR(signal to noise ratio)을 보이는 안축장 값이 목표 굴절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백내장 수술 전 IOLMaster 500 (Carl Zeiss Meditec, Germany)을 이용한 생체계측에서 SNR이 100 미만으로 낮게 측정된 105안에 대해 SNR이 0~10, 10~50, 50~100인 세 군으로 나누었다. 다양한 공식을 이용한 수술 전 목표 굴절치와 수술 후 1개월 및 6개월 후 측정된 구면 대응치를 비교하고, 각 군 간의 예측굴절오차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SNR이 0~10, 10~50, 50~100인 세 군에서 술 후 1개월째의 평균 예측굴절오차는 Haigis 공식을 사용하였을 때 재 1군에서, SRK/T 공식을 사용하였을 때 제 2군에서 더 원시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수술 6개월 후에는 모든 공식을 사용했을 때 제 1군에서 약 0.35 디옵터 정도 유의하게 원시화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룹간의 예측굴절오차 비교 시 Haigis 공식을 사용하였을 때 제 1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IOLMaster 생체 계측 상 SNR이 10 미만을 보이는 경우에는 수술 전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공식 보다 수술 후 실제 더 원시 굴절값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할 때에 주의가 필요하다. | - |
dc.publisher | 한양대학교 | - |
dc.title | The influence of low signal-to-noise ratio of axial length measurement using IOLMaster on prediction of target refraction | - |
dc.title.alternative | 낮은 신호 대 잡음비로 측정된 IOLMaster 안축장 계측치가 목표굴절력에 미치는 영향 | - |
dc.type | Theses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류소정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류소정 | - |
dc.sector.campus | S | - |
dc.sector.daehak | 대학원 | - |
dc.sector.department | 의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안과학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