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연희-
dc.contributor.author장연-
dc.date.accessioned2019-02-28T03:02:39Z-
dc.date.available2019-02-28T03:02:39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6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08en_US
dc.description.abstract중국 소수 민족 복식 문화 자원은 수백 년 동안 전승된 재산으로, 내용이 풍부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방대한 문화 자원으로 복잡한 종류의 복식 문화 시스템을 형성하였다.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머리장신구는 매우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대표적인 민족 부호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와 관습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각 소수민족의 머리장식의 정교하고 아름다운 외관적 조형은 역사적으로 탄생된 것으로, 주변 환경과 지형, 생산 생활 방식 등의 차이에 따라 그 특성이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를 가진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머리 장신구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 및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장신구 디자인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중국과 한국의 문헌 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소수 민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문헌 및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범위는 중국 각 성시의 소수 민족 대표적 민족, 총 20개 소수민족으로, 중국 각 성시별 지역을 북부와 동북부, 서북부, 서남부, 중남부, 동남부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한다. 북부는 몽골족, 동북부 만족, 조선족, 오르죤족이, 서북부는 회족, 위구르족, 토족, 동향족이 분포되어 있다. 서남부 지역은 장족, 이족, 백족, 하니족,태족 등이 주로 분포하며, 중남부에는 토족, 동족, 묘족, 요족, 좡족, 리족이 분포되어 있다. 동남부 지역은 서족, 고산족, 조선족이 분포하나 조선족은 분석 자료가 미약하여 제외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머리 장신구는 선행연구 분류 기준으로 두건형, 모자형, 머리쓰개형, 머리띠형으로 한정하였으며 20개 소수민족의 사진 자료 총 1,126개가 수집되었다.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성 기준은 중국 소수민족 중 다양한 머리 장신구 문화를 가진 요족의 머리장신구에 대해 연구한 장결의 연구를 바탕으로 보탑식(Pagoda type), 수평식(horizontal type),원통식(cylinder type),방관식(Square crown type), 첨정식(ogiva typel), 범선식(sailboat type), 원반식(disk type)의 형식에 두대식(Head belt type)과 두개식(Head cover type)을 추가하여 9가지의 형태적 특성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식 형태는 주로 두건형과 머리띠형, 머리쓰개 형태를 포함하는 머리 장신구로 소수민족들에게 골고루 착용하고 있는 형태로 가장 많이 나타난 머리 장신구 형태이다. 리족, 이족, 좡족, 고산족 소수민족들이 착용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원통식은 둥근 모자 형태를 기본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킨 형태들의 머리 장신구로, 원통형 역시 기본 모자형이라 다양하게 소수민족들에게 나타나고 있었다. 백족의 모자 형태에서 가장 많이 보여지고 있으며 위그르족 남성들의 둥근 사각모자와 토가족에서 많은 착용되고 있었다. 셋째, 보탑식은 둥근 형태 위에 장식을 쌓아 올린 형태로 머리 장식은 높이가 높고 위로 탑의 형태로 제작된 형태가 주를 이룬다. 실크와 오색 구슬 등으로 장식하며, 동족, 묘족, 서족 등의 소수 민족들이 착용한다. 넷째, 방관식은 나무나 빳빳한 소재로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원단이나 실 등의 다양한 장신구를 덮어 제작되는 형태로 만족의 여성들의 머리 장신구와 토족들의 머리 장신구에서 과장된 형태로 나타난다. 다섯째, 두대식의 머리장식은 머리띠 형식의 장신구로 머리 아래쪽으로 화려한 구슬 장신구들로 제작된다. 몽골에서 어얼둬쓰는 머리띠라 불리우며 몽골족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형태이다. 동향족 오르촌족에도 과장되지 않는 형태로 착용되고 있다. 여섯째, 두개식 머리 장식은 이슬람 문화 여성들의 복식에서 영향을 받은 머리 장식으로 머플러나 보자기 형태를 머리에 쓰는 형식이다. 중국 소수민족 중에서 회족, 위그르족, 동향족이 무슬림 여성들의 복식 영향을 받아 착용하고 있다. 일곱째, 원반식은 태족의 모자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다음으로 첨정식도 원뿔 형태의 머리장식 모자형으로 태족의 머리 장식 모자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범선식은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에서 볼 수 있는 형태 중 가장 과장형 형태이다. 요족 머리 장식에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다. 중국 소수민족의 머리장신구 특성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심미성, 실용성, 상징성, 장식성, 다원성 등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소수민족의 머리장신구는 다양한 특성들로 거의 각 민족의 특성이 담긴 심미성 장식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용성, 상징성, 과장성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실용성은 소수민족 머리 장식이 나타내는 큰 특성이며, 지역 환경과 연결되어 있다. 중국 각 민족의 위도 차이는 크게 벌어져 있으며 남, 북쪽의 복식과 장식물의 차이를 빚어냈다. 남쪽 지역은 대나무나 화초 등의 재료로 여러가지 모자를 만들어 쓰고 여름의 무더위를 막는다. 북쪽 지역은 면, 모, 가죽 등의 재료로 제작된 다양한 가죽 모자와 보온모를 사용하여 북방의 추위를 막았다. 둘째, 상징성은 소수민족의 기질, 이주의 역사, 감정의 발산, 이상적인 미적 충동 등의 내용들이 담겨 있어 머리 장신구의 상징적 기능도 매우 중시한다. 소수 민족의 머리장식은 사람 개인의 표시만이 아니라, 신앙과 종교, 사회 윤리, 사회 질서, 규범화된 역사 문화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소수민족 머리장신구의 상징적 특성은 신안과 종교의 상징, 신분이나 연령의 상징, 역사의 상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소수민족의 머리 장식은 모자 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소수민족의 다양한 역사 문화에 따라 각 민족적 특징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머리장식으로 형성, 발전하였으며, 각 민족의 특성을 구현하는 과장적 특성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국 소수민족의 머리 장신구의 다양한 특성들은 장신구 디자인 자료로 무궁무진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외된 민족들에 대한 다양한 장신구 분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표현 특성-
dc.title.alternativeCharacteristics of Head-wear Design in Chinese Minoriti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장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ANG Y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