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룡-
dc.contributor.author이재찬-
dc.date.accessioned2019-02-28T03:02:30Z-
dc.date.available2019-02-28T03:02:30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1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4484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2가지의 ASMR 사운드의 심리·생리학적 개별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ASMR 사운드와 무음간의 심리·생리학적 효과의 차이를 뇌파와 주관적 이완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험참가자는 13명이 참여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구성은 총 12개의 사운드(①부직포 긁는 소리, ②비누 긁는 소리, ③수세미 구기는 소리, ④비닐 구기는 소리, ⑤나무 두드리는 소리, ⑥플라스틱 병 두드리는 소리, ⑦머리 잘라주는 소리, ⑧귀 파주는 소리, ⑨남성이 속삭이는 소리, ⑩여성이 속삭이는 소리, ⑪장작 타는 소리, ⑫비 내리는 소리)와 무음을 활용하여 Within-subject design으로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독립변수는 12개의 ASMR 사운드 종류이며, 종속변수는 뇌파 상대파워스페트럼(Theta 대역, Alpha 대역, Beta 대역)과 주관적 이완도이고, 비교군은 무음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ASMR 사운드와 무음의 기술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중 상관관계분석은 뇌파 주파수별 측정부위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고, t-test는 무음과 ASMR 사운드간의 비교분석을 위해 실시하였다. 개별 사운드의 뇌파의 우세 주파수 대역 분석 결과, ‘무음’은 모든 뇌파 측정부위(F3, F4, P3, P4, O1, O2, T3, T4)에서 Theta 대역이 다른 주파수 대역보다 상대적으로 우세했으며, ‘장작 타는 소리’와 ‘비 내리는 소리’는 후두엽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Theta 대역이 상대적으로 우세했고, 나머지 10개의 ASMR 사운드는 Theta 대역 또는 Alpha대역이 상대적으로 우세했다. 무음 대비 ASMR 사운드의 뇌파 상대스펙트럼 분석 결과, 무음 대비 유의한 차이로 상대적인 활성도가 Theta 대역에서 작고 Alpha와 Beta 대역에서 큰 사운드, 무음 대비 유의한 차이로 상대적인 활성도가 Theta 대역에서 작고 Alpha 대역에서 큰 사운드, 무음 대비 측정한 상대적인 활성도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사운드로 총 3가지 현상이 나타났다. 주관적 이완도 분석 결과, 무음대비 유의하게 각성되는 사운드와 무음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사운드로 총 2가지 형태의 결과가 도출됐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부직포 긁는 소리’, ‘비닐 구기는 소리’, ‘남성이 속삭이는 소리’는 가벼운 집중효과와 이완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누 긁는 소리’, ‘수세미 구기는 소리’, ‘나무 두드리는 소리’, ‘플라스틱 병 두드리는 소리’, ‘머리 잘라주는 소리’, ‘귀 파주는 소리’는 소리’, ‘여성이 속삭이는 소리’는 편안한 이완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 내리는 소리’는 이완효과와 가벼운 수면유도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무음’은 수면유도효과가 나타났으며, ‘장작 타는 소리’는 ‘무음’과 유사한 수준의 수면유도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ASMR 사용자들이 원하는 휴식의 형태에 따라 ASMR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론과 사운드 개별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ASMR 제작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추가적인 자료 확보를 통해 이용자들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ASMR 사운드를 소비하고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12 different ASMR sound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of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between ASMR sound and silence through EEG and subjective relaxation. Thirteen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within-subject design by selecting 12 sounds (① non-woven scratching sound, ② soap scratching sound, ③ scrub sponges crumpling sound, ④ vinyl crumpling sound, ⑤ wood tapping sound, ⑥ plastic bottle tapping sound, ⑦ hair cutting sound, ⑧ ear cleaning sound, ⑨ male whispering sound, ⑩ woman whispering sound, ⑪ firewood burning sound, ⑫ rain sound) and silence. Twelve ASMR sound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lative power spectrum (theta band, alpha band, beta band) and subjective relaxation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comparison group was set to silent. Statistical analysis of ASMR sound and silence were performe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all measurement sites by EEG frequency and the t-test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silence and ASMR sou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dominant EEG frequency band by each sound showed three phenomena. First, The 'silence' was relatively dominant in the Theta band in all EEG areas (F3, F4, P3, P4, O1, O2, T3 and T4). Second, the ‘firewood burning sound' and the ’rain sound' were relatively dominant in the theta band except for the occipital area. Third, the remaining 10 ASMR sounds were relatively dominant in the theta or alpha bands. Analysis of the relative spectrum of EEG and ASMR sounds revealed three phenomena. First, the relative activity of ASMR sound that relative to silence is small in the theta band and large in the alpha and beta bands. Second, the relative activity of ASMR sound that relative to silence is small in the theta band and large in the alpha band. Third, the relative activity of ASMR sound that relative to silenc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frequency bands. The results of the subjective relax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sound. First, the sound that was significantly awakened compared with silence. Second, the soun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ilence. Based on these results, ‘non-woven scratching sound’, ‘vinyl crumpling sound’, and ‘male whispering sound’ were considered to have a light concentration effect and a relaxation effect. ‘soap scratching sound’, ‘scrub sponges crumpling sound’, ‘wood tapping sound’, ‘plastic bottle tapping sound’, ‘hair cutting sound’, ‘ear cleaning sound’, and ‘woman whispering sound’ were found to have a relaxing relaxation effect. ‘rain sound’ appears to have a relaxation effect and a light sleep inductive effect. ‘silent’ showed sleep inducing effect. The sound of 'firewood burning sound showed similar sleep inducing effect to 'silence'. This study provided a methodology that ASMR users select an specific ASMR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break desired and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And it is expected that ASMR makers will use this information and users will be able to consume and produce ASMR sound more effectively by acquiring additional data in the futur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EEG와 주관적 평가를 활용한 ASMR 사운드 개별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EEG and Subjective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SMR Sound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재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aech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융합시스템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S(융합시스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