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6 0

한국 영화 산업의 수익 다변화를 위한 글로벌 시장 확대 방안 연구

Title
한국 영화 산업의 수익 다변화를 위한 글로벌 시장 확대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revenue model of Korean Film Industry -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OTT Service utilization
Author
정재승
Alternative Author(s)
CHUNG, Jae Seung
Advisor(s)
이상인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xpansion of overseas export market by using OTT(Over the top) service to overcome unbalanced revenue model of Korean film industry centered on theater revenue. Korean film industry has grown up to world to 6th rank with revenue of two trillion won per year. And the various ways such as completed movie export, co-production, and local film making and so on were driven for globalization. 〈Train to Busan(2016)〉 and 〈Along With Gods(2017)〉 were released worldwide and as a result, they were ranked high records. And overseas export of 〈Miss Granny(2014)〉 and 〈Blind(2011)〉 got also outstanding outcome, for example, two films were re-maked in China, Vietnam, Indonesia and so on. Thus, the amount of export(US$ 40.7 million) in Korean Film had grown at a rate of 15.2 % per year during five years. However, in spit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export and the number of Films constantly, it doesn't show the meaningful records that the growth rate of the amount of export per film maintains 0.3%. The Korean film market, which grew to the 6th largest market in the world, accounted for 94.2% of domestic sales, including theaters(75.4%) and secondary markets(18.8%). As a result, exports account for only 5.8% of Korea's exports, excluding exports of technology services(3.8%). This represents 0.6% of the total content(US$ 6.9 billion) of the content industry in 2017.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expanding into the global market centered on movies, but due to the lack of a platform for direct distribution, it has not been able to increase its exports and diversify its revenue model. In the end, the Korean film industry relies on the growth of the domestic market centering on theaters. As a result, overseas competitiveness is relatively weak. On the other hand, the population of Korea is rapidly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movie produc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the future of the Korean film industry will maintain its current growth if the revenue model of the movie industry is focused on the domestic market centered on the theater as it is now. As a result, the Korean film industry needs to globalization to find ways to improvement its revenue model.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OTT service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improvement of revenue model and expand market size globally. OTT service is recognized as a platform with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various research and media. In this background, Netflix, a leading OTT service company, points to the unification of the global media market and the paradigm shift of the media industry. In addition, Netflix has formed a new content distribution market by promoting new media content such as movies and broadcasts around the world to provide unique services. As a result, Netflix has established a new competition with existing media platforms. In the end, the Korean film industry needs to apply OTT services to apply for diversification of revenue model and globalization with the aim of the right. Since the 1990s,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steadily growing its domestic market with the expansion of multiplex auditorium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global marke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e Korean film industry should promote re-growth by building a convergence platform that utilizes OTT services. The convergence platform of the Korean film industry should be able to establish a unique movie distribution network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theater distribution, and it should be able to promote the acceptance of the production volume of the already saturated Korean films and the production of new movies. Also, users of convergence platform should provide new movie viewing environment that they have not experienced in existing OTT serv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a movie viewing environment that shares the auditorium with the economic surplus of the theater. In the meantime, the film industry has recognized OTT services as a new competitive system. However, the convergence platfor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nvergence platform and the film industry can cooperate by sha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economic surplus of theaters. On the other hand, the convergence platform has a limitation in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only by the capability of the enterprise. In order to grow the convergence platform, various policy supports including the government's regulations should be supported. Hollywood already has global influence in connection with US trade policy. In this way,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required to support legislative reform and aggressive fiscal policy so that the film industry can cope with and develop the changes in the global media market environment.; 본 연구는 한국 영화시장이 극장에 치중된 불균형한 수익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활용하여 해외 수출 시장을 확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영화산업은 연간 2조원 이상의 시장규모를 유지하며 세계 6위의 영화시장으로 성장했다. 또한, 한국 영화산업은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완성 영화 수출, 국제공동제작, 그리고 현지영화 제작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그 결과 〈부산행〉, 〈신과 함께〉 등은 해외 동시개봉으로 높은 흥행기록을 수립하였고, 〈수상한 그녀〉, 〈블라인드〉 등은 해외에서 리메이크되는 등 한국영화의 해외 시장 진출은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이로 인해 최근 5년간 한국 영화의 해외 수출액(US$ 40.7백만)은 연평균 15.2%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한국 영화의 수출액과 수출 편수가 꾸준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편당 수출액 증가율은 0.3%로 무의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세계 6위의 시장규모로 성장한 한국 영화시장의 매출은 극장(75.4%)과 부가시장(18.8%) 등 94.2%가 내수시장에서 발생하였다. 결국 해외 수출 비중은 5.8%이며, 기술서비스 수출(3.8%)을 제외할 경우 한국영화의 수출액은 2.0%에 불과하다. 이는 2017년 기준 콘텐츠산업 전체 수출액(US$ 6,892.2백만)의 0.6% 수준이다. 한국 영화산업은 그동안 완성 영화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진출해 왔지만 직접 배급할 수 있는 플랫폼의 부재로 인해 수출액 증가와 수익구조의 다변화를 실현시키지 못하였다. 결국 한국 영화산업은 극장을 중심으로 한 내수 시장의 성장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외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다. 한편, 한국의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로 영화시장의 규모 역시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제작편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는 영화산업의 수익구조가 현재와 같이 극장 중심의 내수시장에 치중될 경우, 한국 영화산업의 미래는 현재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다고 장담하기 힘들다. 결국 한국 영화산업은 수익구조를 다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해외 시장 확대를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영화산업이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고 시장 규모를 글로벌로 확대하기 위해 정보통신망과 연계한 OTT 서비스의 활용을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OTT 서비스는 다양한 연구와 언론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이 확보된 플랫폼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OTT 서비스의 선도기업인 넷플릭스가 글로벌 미디어 시장을 단일화하고 미디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점을 지목한다. 또한 넷플릭스는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세계 각국의 영화 및 방송 등 미디어 콘텐츠의 신규 제작을 촉진시켜 새로운 콘텐츠 유통시장을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넷플릭스는 기존의 미디어 플랫폼들과 새로운 경쟁체제를 구축하였다. 결국 한국 영화산업은 수익구조의 다변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라는 당위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OTT 서비스를 응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 영화산업은 1990년대부터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확대로 내수시장을 지속적으로 성장시켜왔다. 글로벌 시장이 정보통신망으로 연결된 현재의 상황에서 한국 영화산업은 OTT 서비스를 활용한 융합 플랫폼의 구축을 통해 재성장을 도모하여야 한다. 한국 영화산업의 융합 플랫폼은 극장 유통과 구분되는 독자적인 영화 유통망을 확립할 수 있으며, 이미 포화상태인 한국 영화의 제작 편수의 수용과 새로운 영화 제작을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융합 플랫폼의 이용자들에게 기존의 OTT 서비스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영화 관람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극장에서 경제적으로 잉여(economic surplus)되고 있는 상영관을 공유시키는 영화 관람 환경의 도입을 제시하고 있다. 그동안 영화산업은 OTT 서비스를 새로운 경쟁체제로 인식해 왔다. 하지만 융합 플랫폼은 극장 상영관의 경제 잉여를 공유하고 협력함으로써 융합 플랫폼과 영화산업은 상호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융합 플랫폼은 기업의 역량만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융합 플랫폼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해소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할리우드는 이미 미국의 무역정책과 연계하여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 정부도 영화산업이 글로벌 미디어 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처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법률의 정비와 적극적인 재정 정책의 지원이 요구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4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