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7 0

포스트모더니티 시대 디지털 시네마의 탈선형적 시공간성

Title
포스트모더니티 시대 디지털 시네마의 탈선형적 시공간성
Other Titles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tiotemporality in the Age of Postmodernity
Author
박지윤
Alternative Author(s)
Park, Ji Yoon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디지털 시네마의 탈선형적 시공간성이 영화의 디지털화 그리고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된 포스트모더니티와 관련됨을 주장한다. 디지털 시네마는 후기자본주의의 도래, 첨단 정보 기술의 발달, 세계화로 특징지어 지는 포스트모더니티가 고도화되는 와중에 등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은 영화가 운동을 재현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대상의 움직임은 특정한 공간에서 시간의 흐름을 동반한 채 이뤄지기 때문이다. 필름 시네마가 필름을 통해 운동을 만들어냈다면 디지털은 그 모든 것을 가상화했다. 따라서 영화의 디지털화는 운동을 재현하는 매체의 시공간성이 달라졌다는 의미이다. 가상을 전제로 하는 이러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은 디지털 환경과 조우한 포스트모더니티의 문제이다. 오늘날 주체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현실과 가상을 자연스럽게 넘나들며 영화가 재현하는 가상공간과 그 속의 시간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기에 그러하다. 디지털 시네마는 파편화와 공간의 전면화라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공간성을 재현한다. 이는 마뉴엘 카스텔의 말처럼 디지털 환경 속 주체가 흐름의 공간과 무시간성을 경험한다는 점과 관련된다. 디지털은 아날로그의 연속을 0과 1이라는 비물질적인 숫자로 만들었다. 아울러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컴퓨터는 공간을 중심화 한다. 이 사이트에서 저 사이트로의 공간 이동은 감지되지만 물리적 변화를 동반하는 시간의 흐름이 컴퓨터에 없다는 것이다.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 또한 이 영향 아래 있다. 응축된 디지털 기술의 문화적 상품인 블록버스터는 영화의 시간성을 대변하는 서사가 아니라 스펙터클을 중시함으로써 그 터전이 되는 공간을 전면화했다. 여기서 시간은 절대적인 제약이 아닌 임의적인 변수이다. 스펙터클을 매개로 디지털과 포스트모더니티의 시공간성을 시각화하는 디지털 시네마는 모더니티의 산물인 필름과 그것의 선형적이고 비선형적인 시공간 모두로부터 벗어났다는 점에서 탈선형적이다. 그 양상은 크게 세 갈래이다. 하나는 편집과 후반작업이 디지털화됨으로써 등장한 ‘새로운 이음매’이다. 영화는 화려한 액션을 편집 기준으로 삼았고 디지털 합성을 통해 연속이 아닌 중첩으로 의미를 만들어낸다. 즉 새로운 목표의 이음매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나머지 두 갈래는 이러한 기법을 전제로 포스트모더니티의 복수적이고 주관적인 시공간성을 재현한다. 디지털 블록버스터는 꿈이나 우주, 환상의 세계와 같은 여러 공간을 볼거리로 삼는다. 이때 시간은 공간에 따라 다르게 흐름으로써 시공간의 위계가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복수적 시공간’은 사람들이 현실과 컴퓨터상의 워드, 인터넷, 게임 등 다수의 시공간을 경험하고 있다는 현실과 맞물린다. ‘업 사이징과 다운사이징’은 비현실적으로 거대하거나 작은 대상이 경험하는 시공간이 인간과 다르다는 사실에 의한다. 이는 인간과 가상적 대상의 시공간을 모두 전제한다는 점에서 복수적이며 가상적 주체의 시각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티의 파편화되고 주관적인 시공간성의 재현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주체는 실제 인간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종 인터넷 계정과 게임 캐릭터와 같은 가상적 대상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 재현은 현 시대가 시공간을 인식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The dissertation argues that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tiotemporality is associated with digitation of cinema and postmodernity which has started since the late 1960s. Digital cinema appeared during the gradual progress of postmodernity which is characterized as the advent of late-capitalism, development of cutting 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In this context, spatiotemporality of digital cinema is important because cinema as a medium which represents movement necessarily requires specific space and accompanies with the flow of time. While film cinema made movements through film, digital technology virtualized every process. Thus digitation of cinema means space-time of medium that generates movement is changed. This digital cinema’s spatiotemporality based on virtuality is related to postmodernity meeting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inema represents spatiotemporality of postmodernity such as fragmentation and expansion of space.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subjects living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space of flow and timelessness according to Castells. Digital technology made continuation of analog into two immaterial numbers; 0 and 1. As time does not exist in computer space, it is space-centered and replaces the role of time. It means that while spatial movement from one site to the other can be detected, it does not show passing of time accompanied with physical change. Digital blockbuster cinema, cultural product of condensed digital technology, tends to focus on spectacle imag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space rather than narrative representing temporality. In this situation time is an optional variable rather than an unconditional restraint. In other words, digital cinema visualizing space-time of both digital and postmodernity through the spectacle as medium can be seen as post-linear as it breaks away from both film’s linear and non-linear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tiotemporality is divided to three parts. One is ‘New joint’ which first appeared along with the digitization of editing and post-production. The purpose of editing is to make spectacle action scene and it enabled cinema to produce meanings by not only continuation of shots but also overlapping of layers in one shot. The other two parts have to do with postmodernity’s plural and subjective spatiotemporality. Digital blockbuster makes spectacle image through surreal space like dream, universe or imaginary world. In those spaces, cinematic time flows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space, and it proves the overturn of space and time. Such ‘Plural spatiotemporality’ meshes with the contemporary experiences in digital environment. ‘Up sizing and downsizing’ is concerned with that unrealistically big or small subject experience space-time differently from normal person. Accordingly, it is plural in terms that cinema represents at least two space-time of human and virtual subject. Besides visualizing a viewpoint of virtual subject is related to fragmented and subjective spatiotemporality of postmodernity. In digital environment, subject is not restricted to human but opened to virtual beings such as countless accounts and game characters in the Internet.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ce-time is not unrelated to the contemporary way of accepting space-tim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4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