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1 0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을 중심으로

Title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of Smart-home Service Based on the UTAUT Model-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Natives
Author
김보라
Alternative Author(s)
Kim, Bora
Advisor(s)
권규현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홈을 비롯한 스마트 카, 스마트 헬스케어 등의 스마트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우리 생활을 윤택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 발전 또한 가속화되고 있지만, 스마트 홈 시장 자체는 아직 모바일 앱을 통해 기기를 조작하는 등의 초기 상용 단계에 머물러있다. 이러한 스마트 홈 서비스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 연구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설계 및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 스마트 홈 서비스 동영상 분석을 통해 사용자 행동 관점에서의 서비스 구성 요소 도출 및 서비스 유형 별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2)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를 활용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 (3)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에 따라 분류된 두 그룹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15개의 사용자 행동 관점의 서비스 구성 요소와 4개 유형 별 스마트 홈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도출되었고, 거실 수용의도에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주방과 침실 수용의도에는 성과기대와 노력기대가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 수준과 연령, 성별, SNS 이용 개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고, 곡간 별 수용의도에 대한 인식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서비스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 잠재 사용자를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을 통해 구분하고, 상위 및 하위 그룹에 따른 스마트 홈 서비스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의 상용화 및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홈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smart services such as smart home, smart car and smart healthcare have appeared. Smart home service is expected to enrich our lives and while related technology advances are accelerating, the smart home market itself is still in the early commercial stages of operating device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In order to popularize such a smart home servic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rove services by understanding needs of service users through user-centered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1) Suggest the frameworks for each service providing patterns and deduct service components from the viewpoint of user behavior through a video analysis, (2) Examine th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accepting smart home service using the integrated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UTAUT) and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sample distribution and the sample mean through the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3) Derive the requirements of smart home service users in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15 components of the smart home service and 4 types of smart home service frameworks were derived, the performance expectancy, the effort expectation and the social influ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n smart home service at living room,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n smart home service at kitchen and bedroom. In addition,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age, sex, and number of SNS usage. Through this study, we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mart home service acceptance and find out how to improve the smart home service and identify potential users through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mart home service industry and user-centered research in the smart home study by deriving the requirements of smart home service according to classify potential users basis on the level of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4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4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TS AND TECHNOLOGY(아트테크놀로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