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4 0

향가(鄕歌)의 근대·3 - 국문학사상(國文學史上)향가의 위치 문제 -

Title
향가(鄕歌)의 근대·3 - 국문학사상(國文學史上)향가의 위치 문제 -
Other Titles
Hyangga(鄕歌) in Modern Times·3
Author
고운기
Keywords
한국문학사; 향가; 차자표기; 향찰; 萬葉가나; 문화콘텐츠;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yangga(鄕歌); borrowed characters; Hyangchal(鄕札); Manyo-Kana(萬葉假名); culture contents
Issue Date
2018-11
Publisher
한국시가학회
Citation
한국시가연구, v. 45, Page. 269-290
Abstract
借字表記를 하던 시대 곧 6~9세기의 한국어와 일본어는 같은 원리를 가져다 썼다. 향찰과 萬葉가나가 그것이다. 그러나 향찰은 중단되었고, 萬葉가나는 일본어로서 가나로 발전하였다. 같은 출발에 다른 전개였다. 근대 들어 처음 향찰을 발견한 이는 일본의 사학자이고 한학자였다. 어학적인 전문성은 결여된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어학적 가치를 원론적으로 언급하는 데 역할이 그쳤다. 어학자인 가나자와 쇼사부로(金澤庄三郞)는 한자의 音訓을 빌려서 그 국어를 적은 것이 한국어와 일본어가 터럭만큼도 다른 바 없다고 단언하였다. 그것은 문자 발생 시기에 고정해서는 맞았지만, 역사적 變轉의 경과 속에서는 맞지 않았다. 이에 비해 아유가이 후사노신(鮎貝房之進)은 일본이 萬葉가나에서 출발하여 문자 체계를 발전시키고 오늘날까지 가나라는 기본생활언어로 쓰고 있는데, 향찰이 그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사라진 것을 보았다. 우리는 ‘해독이란 궁극에 있어 표기 당시의 고대어로의 환원’이라는 주장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환원만이 문제는 아니다. 借假로 표기하는 것과 문장을 記述하는 것은 다르다.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도 같은 차용 체계를 지닌 향찰과 萬葉가나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믿어버렸다. 거기까지는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음절문자로 발전한 히라가나의 체계를 차자표기의 향가 해석에 적용하려 한 데 문제가 있었다. 향가 연구에 먼저 나선 일본인 연구자의 이 같은 방법론은 梁柱東을 비롯한 우리 향가 연구자에게 그대로 전해졌다. 향찰과 한글의 차이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나아가 문학사에서 다루는 방법론의 문제이다. 趙潤濟는 ‘歷代를 縱貫’하고 ‘上下를 貫通’하는 존재로서 향가를 들면서, 이것이 국문학사와 국민문학의 기원이라고 주장하였다. 실로 향가는 국민문학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 하나, 향가를 다루는 문학사상의 시기 문제이다. 지어지고 향유한 신라시대에 맞추어 언급한 그간의 관행은 그것으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향가는 오랜 기간의 공백기를 거쳐 20세기에 돌연히 출현하였다. 근대의 연구자만이 아니라 문학대중에게 향유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해독과 의미 부여를 하며 작품-연구자-독자가 소통하는 문화콘텐츠가 되었다. 이것이 향가의 근대이다. 결론적으로 향가를 문학사 속에서 기술하자면 두 시기로 나눠 보는 방안을 고려해 볼만하다. 첫 시기는 지금의 문학사가 서술한 대로 두되, 두 번째 시기를 만들어, 20세기초 향가가 발견된 다음의 문학사적 현상을 기술하는 것이다. 문학사상 더 의미가 깊기로는 발견 이후의 현상이 오늘의 우리에게 發信하는 메시지이다. The written Chinese characters were integrated into Korean and Japanese between the 6th and 9th century. At that time, the Korean and Japanese characters had a similar principle, such as Hyangchal(鄕札) and Manyo-Kana(萬葉假名), and Manyo-Kana was developed into Kana as Japanese. They began together but subsequently developed differently. A Japanese historian and scholar of Chinese classics developed modern Hyangchal, and it alone has an important role. Before this, linguists affirmed that Korean and Japanese had the same writing systems that borrowed Chinese sounds and meanings.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characters, this was correct. However, this changed and the two writing systems became different. We accept the claim that the interpretation will ultimately return to the ancient language, but it is not a matter of merely returning. Writing using borrowed characters is different to making sentences. Therefore, the system of Hiragana developing as a syllabic system adopted for interpreting Hyangga(鄕歌) as a writing system with borrowed characters was problematic. The methods of the Japanese Hyangga researchers were transferred to Korean researchers. Another matter is the history of literature. It makes sense to refer to the Shilla(新羅) era when the Hyangga was created and appreciated. However, Hyangga appeared suddenly in the 20th century after a long absence. It was treated as an enjoyable thing by the public and modern researchers. It became used for cultural content so that an author, researcher and reader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terpret the content, and add new meanings. As a result, the phenomena of the return of the Hyangga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in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described. The Hyangga is now more meaningful, being found agai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ts message is uniqu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423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8930
ISSN
1226-557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