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8 0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itle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er’s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Author
이희선
Keywords
경찰공무원;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Police Officer; Emotional Labor; Job Str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sue Date
2016-09
Publisher
경찰대학
Citation
경찰학연구, v. 16, NO. 3, Page. 27-62
Abstract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심을 두고 “이들 변수들이 조직유효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등을 연구문제로 하여 실증적으로 검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노동의 구성변수는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조직유효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한정하여, 전국 경찰관서 소속 경찰공무원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표면행위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만족(β=-.218)과 조직몰입(β=-.109)에 각각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내면행위는 직무만족(β=.416)과 조직몰입(β=.671)에 직·간접적으로 각각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β=-.394)과 조직몰입(β=-.197)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표면행위는 직무만족(β=-.218)과 조직몰입(β=-.099)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효과가 그리고 내면행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총효과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 내면행위, 직무스트레스, 표면행위의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함의는 경찰조직분야에서 감정노동의 개념과 실제를 인식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려는 조직문화의 조성을 통해 조직유효성을 제고시키려는 노력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er’s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between them.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40 police officers at police stations around the n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urface and deep acting as th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significant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ep ac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job str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direc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show that surface acting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deep acting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m. Tho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the field of public service should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concept and reality of emotional labor,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to reduce job stress, and make efforts to change emotional labor in a positive min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01935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786
ISSN
1598-371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CY SCIENCE[S](정책과학대학)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