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0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권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rvice Area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Seoul
Author
김흥순
Keywords
도시지역권 근린공원; 설문조사; 이용권; 서울시 공원; Urban Neighborhood Parks; Survey; Service Area; Parks in Seoul
Issue Date
2016-09
Publisher
한국지역개발학회
Citation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 28, NO. 3, Page. 67-88
Abstract
도시 내 거주자들은 경제 및 문화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게 되었고, 공원과 같은 공공서비스의 질 또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이용권, 특히 법적으로 유치거리가 명시되지 않은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실제 이용권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내 70개 도시지역권 근린공원 중 입장료를 받지 않는 조건으로 운영되고 있는 55개 공원을 대상으로 4월 말에서 6월 초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55개 공원의 공원특성 변수 자료를 활용해서 특성별로 각 공원들을 그룹화하여 선유도, 여의도, 효창, 서울숲+뚝섬, 시민의 숲, 오동의 6개 공원을 대표공원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공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이용객의 이동거리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얻었으며, 통계적인 방법을 토대로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평균적인 이용권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대표공원들은 짧은 이용권을 가지는 그룹, 긴 이용권을 가지는 그룹, 앞선 두 그룹의 중간적 성격을 띠는 3개의 그룹으로 나뉨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상이한 성격을 갖는 공원들이 하나의 범주 안에 공존한다는 문제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기존의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을 새롭게 분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is considered important in cities, as the citizens desire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Urban parks, in particular, are at the center of attention as space for mitigating social alienation. In this st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usage range of urban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at the effective distance of urban neighborhood park is not specified by the law. Among the urban neighborhood parks in Seoul, the 55 parks without entry cost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chosen parks were categorized by conducting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6 parks (Sunyudo, Yeouido, Hyochang, Seoul Forest, Citizen’s Forest and Ohdong Park)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e analysis. Park visitors were surveyed to collect their travel distance to the park as well as their personal attributes. Resultingly, the 6 target parks could be divided into 3 groups: parks with relatively smaller usage range (group 1), parks with relatively greater usage range (group 3) and parks with medium usage range (group 2). Considering parks with varied characteristics, as a single category could seem problematic, some change in the classification of urban neighborhood parks might be required.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498815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630
ISSN
1225-90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