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학준 | - |
dc.contributor.author | 김수홍 | - |
dc.date.accessioned | 2018-09-18T00:46:20Z | - |
dc.date.available | 2018-09-18T00:46:20Z | - |
dc.date.issued | 2018-08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41 | - |
dc.identifier.uri |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814 | en_US |
dc.description.abstract | 수성 아크릴 에멀젼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으로 인하여 친환경소재로 산업 전반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수성 에멀젼의 냄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나 용제 등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배제, 환경호르몬이 발생하는 가소제의 사용제한 등 1차적인 원료 측면 및 잔류모노머의 효율적인 제거의 검토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합반응 종료 후 투입되는 pH 조절제의 냄새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Pure-acrylic type의 수성 아크릴 에멀젼을 polymerization 하여 암모니아수, triethanolamine, N-butyldiethanolamine, 2-amino-2-methyl-1-propanol의 네 가지 pH 조절제로 pH를 8.5로 조절하였다. 수성 아크릴 에멀젼의 물성을 변화 혹은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냄새의 개선이 이루어져야하므로 중합반응 결과물에 서로 다른 pH 조절제를 첨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도, 입자크기 변화 및 내수성 실험을 통해 수지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각 수지 샘플에 안료를 포함하는 mill-base를 혼합한 후 상용성 및 도막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연필경도를 시험하였다. 기존에 수성 아크릴 에멀젼의 pH 조절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암모니아수를 사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에 사용한 pH 조절제 중 N-butyldiethanolamine과 2-amino-2-methyl-1-propanol solution의 냄새개선 및 물성유지 기능이 비교우위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 |
dc.publisher | 한양대학교 | - |
dc.title | 수성 아크릴 에멀젼의 냄새절감을 위한 pH 조절제 적용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Study on pH Adjuster for Water-Born Acrylic Emulsion for Odor Reduction | - |
dc.type | Theses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김수홍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Kim, Soohong | - |
dc.sector.campus | E | - |
dc.sector.daehak | 융합산업대학원 | - |
dc.sector.department | 산업화학·화학공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