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3 0

경의선숲길 설계요소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Title
경의선숲길 설계요소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Other Titl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of Gyeongui-line forest park
Author
김주은
Alternative Author(s)
Kim, Ju-Eun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의선숲길은 경의선의 지하화로 사용이 중지된 철도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된 공원으로, 생활권과 연접하여 도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 산책, 자전거타기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공원 주변에 지역 활력을 불어넣는데 기여하고 있다. 지하의 철도 공사 후 지상부에 공원을 조성해야 하는 현장여건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성되었으며, 2012년 1단계구간 개방을 시작으로, 2016년 전 구간 개방하였다. 1단계 구간을 완료 후 여건의 변화로 나머지 구간에 대해서는 관 주도의 공원 조성방식에서 벗어나 시민참여형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이와 유사한 선형공원 계획 시 공간 특성에 따른 조성방안 및 방향제시와 공원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의선숲길의 조성과정과 조성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통해 선정된 설계방향과 컨셉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12개의 설계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시민참여가 반영된 연남동구간과 반영되지 않은 대흥동구간으로 구분하여 이용객들이 얼마나 만족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특성 면에서 연남동구간은 공원에 연접하지 않은 서울시 타 구나 비 서울지역에서 만남과 특색 있는 상점과 음식점 등을 방문하기 위한 목적성 있는 방문이 많았다. 대흥동구간은 공원과 연접한 마포구, 용산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주로 방문하였고, 공원 인근 직장인들과 주민들의 산책 및 휴식공간으로 이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남동구간과 대흥동구간의 설계요소에 대한 전체적인 중요도 만족도 비교 결과, 연남동구간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흥동구간 조성 후 설문조사와 주민설명회로 주민의견을 수렴하여 조성된 연남동구간이 이용자 입장에서의 요소들이 잘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두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철길을 재현한 요소의 특이성,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오픈스페이스는 이용자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만족스럽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철길을 공원의 컨셉에 적용하여 다른 공원과 차별성을 둔 것과 폭이 좁은 선형의 공원을 오픈스페이스 조성으로 개방감을 준 것은 선형공원에 필요한 요소이다. 넷째, 우선 시정이 필요한 요소로 산책로나 자전거도로의 단절, 숲길과 물길의 생태성으로 나타났다. 차량교차로로 인한 단절은 이용자들에게 안전과 편의 확보 면에서 부정적인 요소로 도출되었고, 숲길과 물길의 생태적인 유지관리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요소로 나타났다. 향후 조성되는 선형공원은 기존 교통시설과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들을 고려하여 단절구간을 가능한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숲길과 물길은 이용과 관리 측면에서 생태적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조성하는 것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연남동구간은 계획단계에서 고려되었음에도 주변 지역 문화의 반영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문화와 역사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과 연계하여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주변 여건의 변화와 함께 지역 문화를 변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다섯째, 경의선숲길은 주민참여형 도시공원으로 의미가 크지만, 실제 의견 수렴 시 주민이 원했던 음주, 야간이용, 쓰레기 등 거주민들에 대한 배려에 대한 의견은 설계요소로는 반영되지 않아 본 연구 분석에 제외되어 아쉬운 점이다. 향후 생활권 선형공원 조성 시에는 공원 연접 거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주요한 설계요소로 선정하여 공원 전반적으로 반영하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설계요소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선형공원 조성 및 관리의 고려 요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5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CONVERGENCE[S](부동산융합대학원) > URBAN & REAL ESTATE DEVELOPMENT(도시·부동산개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