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4 0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 도출 및 효과 분석

Title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 도출 및 효과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Factors of Urban Nature Environment Regeneration and on Their Regeneration Effects : Focused on Garosoo-gil Sinsa, Seoul, Korea
Author
이규리
Alternative Author(s)
Lee, Kyu Ree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21세기 지식정보창조사회에서 도시의 주요 의제는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지구기후변화 대응, 생물종 다양성 증진, 신재생에너지 생산, 수순환시스템 개선 등이 이에 속한다. 관련하여 도시 및 조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 ‘지속가능한 개발' 등의 개념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온실가스, 에너지, 생태 등을 중심으로 환경부하가 높았던 과거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전략 또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도시 환경문제의 개별적 이슈를 대상으로 환원적 접근 위주의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도시재생 분야 연구는 건축, 가로 공간 등 물리적 환경 개선, 문화예술 및 역사자원 활용, 커뮤니티 조성 등 사회적 재생 위주로 진행된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 선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환경이 열악한 도심은 제외되고 있어 도시의 환경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도시의 근본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자연환경재생 요소를 종합하고, 경제·사회·문화가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는 도심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환경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도시 자연환경재생 가이드라인 제시의 기초 마련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가로수길 일대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활성화 상업지역 중 환경적으로 가장 열악하다고 판단되어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도시 자연환경재생의 조작적 정의는 도시의 개별 시스템들이 유기적으로 순환하여, 자연 생태계처럼 스스로 작동하도록 구축하는 개념인바, 선행 연구 및 선진 사례에서 다뤄지는 내용의 종합적인 이해가 요구되었다. 그 결과 도시 자연환경재생을 위한 상위요소는 그린·물·에너지·교통 시스템 등 크게 4가지로 추출할 수 있었고, 세부항목으로는 63개의 하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로 종합된 지표를 바탕으로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고, 총 28가지의 요소가 가로수길 지역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28가지의 요소는 3가지의 방안으로 정리되었다. 그린시스템과 물순환시스템을 복합하여 도입하는 방안과, 자연에너지 재생 및 에너지 저소비 환경을 구축하는 방안, 새로운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다. 또한, 탄소저감 및 흡수 효과 산출식이 있는 일부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태양집열판 설치’로 인한 탄소저감량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도시 자연환경재생의 시스템은 요소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개별 요소들의 탄소저감량 합으로 기대효과를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즉,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개별 요소에 의한 효과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면, 기존의 경제·사회·문화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도심의 자연환경재생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 적용을 위하여 제도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각 부처별, 지차체별, 특정 이슈에 집중되어 이익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전략과 목표를 갖도록 법적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더하여 지원법 강화와 주민역량강화 등 세부적인 실천 방안과 관련한 정책 마련도 필요할 것이다. 중·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지속적인 노력을 비롯하여 분야별 협업도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생명경관도시 관점에서 본 도시 자연환경재생 관련 통합적 이론 적립에 기여하였다는 점과 경제·사회·문화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도시 내 상업공간인 가로수길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를 도출하여 작동적 기대효과를 탄소 저감 및 흡수 맥락에서 산출해 봄으로서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도시 자연환경재생을 위한 요소의 통합 자료를 제시하여 가이드라인 및 정책, 제도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는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실제로 요소 도입이 가능한 지점의 특성에 맞는 현황분석이 부족하였으며, 그 기준 또한 미비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효과분석 방법론상의 한계로 말미암아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요소들 간의 연계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너지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연구방법론으로 가로수길 지역의 현황을 고려한 도시 자연환경재생의 경제적 편익에 관한 연구와 타당성분석을 비롯해 도시 자연환경재생 요소 도입을 통한 시너지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60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6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SIGN AND LANDSCAPE ECOLOGICAL ARCHITECTURE(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