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1 0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위한 개선된 웹 페이지 메뉴 인터페이스

Title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위한 개선된 웹 페이지 메뉴 인터페이스
Other Titles
Enhancing Webpage Menu Interfaces to Increase Web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Low Vision
Author
조유정
Alternative Author(s)
yujeong Cho
Advisor(s)
차재혁교수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은 시각적인 콘텐츠들로 구성된 웹사이트의 접근이 어려워 이러한 콘텐츠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이용에 제한을 받는다.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인터넷 이용 활동에 어려움 겪은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많은 웹사이트가 웹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웹 접근성이 준수되지 않은 사이트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인식성을 떨어뜨린다. 두 번째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자신에게 맞는 보조기기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저시력 시각장애인은 잔존시력으로 화면을 볼 수있으며, 장애 유형에 따라 시야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화면을 보기 위해 필요한 시각적 보조 기술이 각각 다르다. 대부분의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이 자신의 장애증상에 맞는 보조기기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보조기기를 살만한 여유가 없다. 세 번째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웹사이트의 구조를 잘 파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웹사이트의 분류체계를 파악하고 정보를 찾지만 웹 사이트의 메뉴가 일관성이 떨어지면 웹사이트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정보를 찾는 활동을 더 어렵게 만든다.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웹 이용활동을 방해하는 모든요인을 고려하여 이를 개선 하기 위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접근성과 시각적 보조기술을 동시에 지원하고,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요구사항을 고려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메뉴의 계층데이터 표현 방법에 따라 수직 구조 메뉴 인터페이스와 블록 구조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 기존 인터페이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변환 규칙을 설명한다. 그리고 누구나 쉽게 설치가능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물리적인 보조기기 없이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HCI관점에서 개선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한 실제 사용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선된 메뉴 인터페이스의 명도 대비 체크를 위해 웹 접근성 도구로 평가한 결과, 모든 요소에 대하여 레벨 AAA등급을 준수하였다. 페이지 탐색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한 평가에서 분석적 평가 도구인 KLM-GOMS를 통해 기존 사이트와 비교한 결과 개선된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절반의 수행 시간 단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성 평가를 위해 비시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두 그룹으로 나누어 최종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고, 비시각장애인은 수직 메뉴 인터페이스를 선호하고 시각장애인의 경우 블록 구조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해 선호도가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인터넷 이용수준과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환경을 고려했을 때, 메뉴의 구조를 쉽게 파악하고 스크롤작업없이 2차 메뉴를 일관성있게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블록구조 인터페이스가 저시력 시각장애인에게 더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9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9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OMPUTER SCIENCE(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