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2 0

백화점 옥상정원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백화점 옥상정원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Roof Garden Space Design of Department Store
Author
진가린
Alternative Author(s)
Chen, JiaLin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라 국민 소비 수준은 날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 백화점, 쇼핑센터 및 대규모 상업용 건물이 도시의 중심과 교통 요새를 휩쓸고 있다. 토지 제한된 상업 지우는 어느 업체도 도시의 공공 공간 환경에 대한 양보를 하고 싶지 않다. 이런 상업용 건물이 과도 개발하는 동시에 녹지 공간에게 영향을 주는 게 필수이다. 즉 도시 녹지 공간에 상대적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소비자 쇼핑 경향도 변하다. 쇼핑행위는 소비자의 단일한 쇼핑 요구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대형 상업 건물 마케팅 모델가지 변하다. 쇼핑, 식음, 엔터테인먼트 및 기타 기능의 결합을 통해 한 곳에서 모든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복합적인 쇼핑몰로서 변경하다. 이는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상업용 건물의 설계가 외부특징부터 내부 공간 디자인 환경까지 엄청난 변화를 겪어 주변 도심의 상업용 건물이 경쟁 할 수 있게 되었다. 백화점은 부문별로 운영하고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상점이다. 복합 상업용 건물의 백화점으로서 이제 많은 부가 속성이 있다. 예를 들어, 원래가 음식, 의류, 패션잡화, 스포츠 용품, 가구, 가전제품, 일용품 등 공간구성의 형식으로 문화 센터, 레스토랑, 병원 및 여행사 및 기타 시설과 최신 장비를 점차 통합하기 시작했다. 백화점 옥상 공간은 도시인의 공공 공간과 친환경적인 녹화 공간으로 소비자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신소비도 충족시키다. 또 옥상공간은 여전히 문제를 준재하다. 도시 기온과 환경 조절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동시에, 사용자 인식 부족, 공간 유형단일, 불합리한 공간 분리, 전반적인 공간 분위기 및 사후 관리로 인한 사용자가 한번 가서 두 번 가고 싶지는 않다. 따라서 서울의 3대 백화점의 6개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자의 현장 방문을 통해 상업 건축물 옥상공간의 선호도, 디자인 요소의 선호도, 자연 조건을 충분히 사용하여 소비자에서 경험과 일상생활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옥상 공간을 설계하다. 도시 공간에 그 중요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의 3대 브랜드 백화점 옥상정원은 공간구성 측면에서 체험, 문화, 공연, 전시 등의 다양한 공간요소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옥상정원에서 다양한 행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백화점 옥상정원은 현대 백화점 공간구성은 다른 브랜드 백화점 옥상보다 다양한 공간구성 요소가 적용되지 않았다. 또한 물리적 환경 요소에 조경 및 차양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옥상정원은 공간구성 요소측면과 물리적 환경 요소 측면에서 부족하게 나타났다.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해가는 옥상정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공간구성 요소가 계획 시 사용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문화, 공연, 전시를 고려해야 하며, 그리고 물리적 환경요소와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해 백화점 옥상정원은 점차 지면 공원처럼 공간공능이 풍부뿐만 아니라 대부분 사례가 다 기본적으로 조경녹지공간과 휴게공간을 제공하여 개별적인 사례는 수경공간이나 편익 공간 등 다른 공간을 추가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수경공간이 보편화되지 않아 수경공간을 존재하는 사례는 수경공간의 위치가 고정시키고 시설이 단일하다. 이에 따라 분수, 연못, 인공폭포, 벽천과 기타 시설을 다양하게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수경공간의 형식도 수로, 계로, 습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보편적으로 카페가 있으며 휴게공간과 연결하여 실외 노천카페를 제공하는 것이고 동선에 따라 휴식공간을 설치한다. 동선 유형은 크게 도그레그, 방사형과 감돌형이 3가지 있다. 공간면적과 모양에 따라 알맞은 동선 유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옥상공간은 개방정도 구분은 개방형, 반개방형과 비임형이 있다. 그 중에서 개방형은 보통 아고라처럼 상업건축을 복무하는 것이고 양쪽만 벽이 있어 대부분 시야범위가 좋다. 반개방형은 옥상공간이 부분적으로 한정하여 특별한 사용자를 위한 만들고 한 쪽만 주변경치를 잘 볼 수 있다. 비임형은 사면 다 벽을 설치 주변 환경에게 영향을 받지 않고 내부 분위기만 중시하는 것이다. 셋째, 사용자 설문을 통해 백화점 옥상정원 공간만족도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을 계획할 때 조경녹지공간은 제일 중요하고 1위로 차지하여 교육문화공간을 더욱 중시하고 있다. 휴게공간은 3위이고 놀이 운동공간, 편익 공간, 수경공간과 보호안내공간의 순석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백화점 옥상정원 계획할 때 공간유형을 풍부해지는 동시 문화성을 중시해야 하고 사용자를 고려한 휴식공간의 유형과 위치를 더 생각해야 한다. 넷째, 공간특성의 조사결과를 보면 체험성, 복합성, 편익성, 쾌적성, 연동성과 개방성의 순석 때로 중요정도가 나타났고 서로 관계성이 있다. 개방성과 쾌적성, 편익성, 체험성과 연동성이 서로 점수는 정비례하였다. 그리고 6개 사례가 편익성에서 제일 큰 차이를 나타났고 사용자를 고려하여 희망시설이나 장애자를 배려하는 편익시설을 충분히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다. 다음에는 공간연결의 합리성방면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입구부터 산책하고 앉아서 휴식까지 잘 인도해야 한 것이다. 마지막은 쾌적성은 옥상환경위생을 잘 유지하는 게 밖에 시설물 관리와 지면 높이 차이를 활용하여 공간 취미성을 증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일반적인 시설 외에도 연못, 폭포, 벽천, 수로, 조형물, 자판기, 음수대, 놀이시설, 안내판 등 시설과 동、식물원, 전시장, 흡연소, 전망대, 이벤트 공간 등의 공간이 만족도에게 중요한 공간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이들 향후 옥상정원의 조성이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을 적응하기 위해 도입되어야 할 요소로 나타났다. 낮에 연구만 해서 조명쪽 연구가 부족하여 추후 시간적과 계적에 따라 설문이나 면접을 통한 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 결과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한국 서울의 3대 브랜드 백화점 옥상정원 공간디자인이 80년대부터 시작하였지만 아직 시대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변화하고 있어 부족점을 완산하고 있다. 미래에 넓은 발전공간과 탐색적인 마음을 가지고 공간 발전가능성을 찾아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백화점 옥상과 옥상녹화 등 미래에 다양한 발전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다. 더 나아가 도시인 라이프스타일를 중시한 다기능적인 옥상 공간 디자인 참고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With economy growing rapidly, the level of national consumption is raising accordingly. Therefore, large department stores, shopping centers and commercial buildings are all over the city centers and transportation hubs. In extreme valuable business area, no businessman would compromise their benefit for the environment for nothing. As everything has two sides,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buildings will definitely bring city’s green area some influence, which is the lacking of green area. In spiritual level, shopping itself is inadequate to satisfy consumers. Large business buildings has been changing their marketing model by adding the function of catering and entertainment, which have become an one-stop platform to cater the experience-based shopping need of consumers. Large business buildings have changed their design of both exterior and interior drastically to compete with the business buildings in surrounding cities. A department store is a place where various merchandise sold in different divisions. As a multiple-functional building, the department stores have a lot of additional factors. For instance, the scope of business has been increased, from selling food, clothing, fashion accessory, sporting equipment, furniture and so on to become a combination of cultural center, restaurant, hospital and travel agent by utilizing convenient facilities and modern equipment. As the public and eco-friendly area of citizens, the roof is not only providing space to rest, meeting the needs of spiritual consumption, but also a crucial part of temperature and environment adjustment.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about the roof, like inadequate knowledge of the user, simplicity of using type, unreasonable space partition and improper management, which might cause the situation that customer been to the roof once is not willing to step there again. Considering the current circumstance, the importance of the roof can not be ignored by the designers anymore. By analyzing field interviews of 6 cases of 3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combining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satisfaction of the roof and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factors , the author is trying to study how to design roof space that satisfies both experiencing and practical needs by utilizing its natural advantage, and ultimately achieve its significance to the cit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ly, roof gardens of three famous department stores in Seoul show factors including experience, culture, perform in public, exhibition and so on, which allows users to participate various activities. Among those gardens, the composition of Modern Department Store’s roof space is relatively simple due to its lack of design factors and facilities for landscaping, sun-proof and assistance of the disabled while the physical environment allows. According the above analysis, the design of roof garden still has its defects in composition and design factor. Roof garden is developing towards multi-cultural space, as a result, it must contains designing factors like culture, perform in public and exhibition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s. The composition of roof garden has to take physical environment into consideration. Second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department store roof garden is not only as functional as ground garden, most of which provides basic landscaping and resting space and some of which even has other space including water scene and convenient facilities. It’s natural for roof garden to have outdoor resting space if there is a cafe. The position of resting space is usually managed according to dynamic lines that includes 3 types, folding lines, radical lines and surrounding lines, which will be designed based on its size and shape. Based on the degree of openness, the roof can be divided into open, half-open and close type. The open type typically serves for business building as public square, which only has two sides of walls and usually has a good view. Half-open type roof garden usually reserve part of the space for particular users and the rest can will have a good view. The close type includes four sides of walls, which focus the interior environment which avoids the outdoor influence. Thirdly,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the user, the result of satisfaction is as following. For users, the most important space is for the landscape, the second is educational and cultural space, the third one is resting space, and the following is entertain and sporting space, convenient space, water scene space and safe-consulting space. According to the actual developing situation, the landscape space and resting space is relatively mature, which means the users focus more about educational and cultural space in the roof garden. Therefore, the design of roof garden has to pay more attention to its cultural feature while varies the space type and consider users' dynamic line to design the position of resting space and landscape space. Fourthly, according to the survey of space factor,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multiplicity, convenience, comfort, interaction and openness is revealed and the relations of them is clear. For example, openness, comfort and convenience, those 3 factors are positive related. The most obvious difference shows in convenience, the point of which depends on whether the required and assistant facilities are adequate, the rationality of space connection, whether the guidance from the entrance to destination is effective. Finally, the comfort depends on the advance planning, post maintenance and whether the designer utilize the height difference to create a joyful atmosphere. Fifthly, besides normal facilities, the roof garden should also set up factors like pond, water fall, vending machine and other entertaining facility. It's also vital to setupbotanical garden, zoo, and smoke area in future design. The composition of roof space should consider and adapt the living pattern of the users. Due to subjective factor, the investigation is only conducted during daytime.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 in this thesis, and the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based on eyesight and seasonal change with the method of questionnaire or interview. Although started at 80s in Korea, it is still necessary for the roof space designing to improve the insu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 of user's need. The design of future roof space is full of possibility and prospect, because it is not only the trend of business building roof, but also the trend of office and residential buildings roof. Hopefully this thesis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diversification of roof design, and the improvement scheme part can be a reference for humanized and multi-functional desig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7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7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