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5 0

영문법 학습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 및 가정법 활용 말하기에 대한 연구

Title
영문법 학습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 및 가정법 활용 말하기에 대한 연구
Author
한이슬
Alternative Author(s)
Han, Yi Seul
Advisor(s)
김성연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영문법 학습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과 가정법 활용 말하기 능력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을 영어 능숙도(수능 영어 등급)에 따라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을 이해하고 말하기 능력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수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법 인식 설문지와 말하기 실험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말하기 실험에서 쓰인 가정법 구문은 비현실적인 상황으로 설정 된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 가정법 미래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구성한 설문지를 토대로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영문법 학습에 대한 설문조사와 가정법 말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에 설문결과를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자들은 영문법 학습을 할 때 대부분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하위그룹이 상위그룹보다 불안감을 더 느끼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학습자들은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을 전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쓰기·말하기에서 문법 학습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쓰기와 말하기에서 문법을 활용할 수 없다고 절반 이상이 응답을 했다. 학습자는 영문법을 효과적으로 배우기 위한 방법으로 문장 암기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문법 중에서 가정법을 다루고 있는데 학습자들은 가정법이 중요하지만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법이 어려운 이유는 가정법 구조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고, 가정법을 효과적으로 배우기 위해서 교사나 강사의 효과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영어 가정법 if절과 주절을 말하기로 표현할 때 정답률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if절의 정답률이 주절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If절에서는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미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고 주절에서는 가정법 미래,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다. 또한 영어 능숙도(수능 영어 등급)에 따른 상위그룹과 하위그룹간의 정답률 차이는 다음과 같다. If절에서 상위그룹의 경우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미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고 하위그룹의 경우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 가정법 미래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다. 주절에서 상위그룹의 경우 가정법 미래,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고 하위그룹의 경우 가정법 미래,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영어 가정법 if절과 주절을 말하기로 표현할 때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가정법 과거완료와 가정법 과거에서 정답인 동사의 시제보다 한 시제 차이가 있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다. 일반적인 오류의 한 예로 가정법 과거완료 문장의 if절에서 정답은 had known이었지만 단순과거 knew가 가장 많은 오답이었다. 가정법 미래에서 가장 많은 오답 유형은 동사의 현재형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우선, 영문법은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 토대이므로 문법 교육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영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수업 환경을 구성하고,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더불어 학습자의 가정법 활용 말하기에서 정답률과 오류 유형을 참고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grammar and their speaking skills using subjunctive mood structures. The difference by English proficiencies is to be analyzed.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high-level group and low-level group based on their Korean SAT English scores. A questionnaire about the perception of English grammar and speaking experiment using subjunctive mood structures were used for the study.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47 Korean learners of English who were college students at a 4-year university in Seoul. Spoken data were elicited by oral translation of the 6 sentences set by counterfactual situations. All subjunctive mood structures consisted of three types: subjunctive past, subjunctive present, and subjunctiv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PSS 25.0 program.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did not find learning English grammar enjoyable or interesting. Students felt anxiety when speaking or writing in English. The low-level group felt more anxiety than the high-level group, which was proven meaningful statistically.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at learning grammar was necessary. In writing and speaking, grammar seemed to be needed more. However, they had more problems in using grammar for writing and speaking.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the most effective way to learn grammar was memorizing sentences. Moreover, students perceived the subjunctive mood important but difficult. The main reason why students found English subjunctive mood difficult was its structure. Second, students felt a greater deal of difficulty in if-clause than main-clause when they spoke the sentences using subjunctive mood structures.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rom highest to lowest was as follows: subjunctive past, subjunctive past perfect, subjunctive future for if-clause, and subjunctive future, subjunctive past, subjunctive past perfect for main-clause. In high-level group, the most problematic was subjunctive future for if-clause and subjunctive past perfect for main-clause. In low-level group, the most problematic was subjunctive future for if-clause and subjunctive past for main-clause. Third, judging from students’ error types in if-clause and main-clause, they tended to use the backshifting of the tense incorrectly. For example, they should have used ‘had known’ instead of ‘knew’ in the subjunctive past perfec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In the stream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English grammar should not be ignored. Teachers should also devise a way to lower students’ anxiety related to grammar. For educational implication in teaching, educators should perceive students’ error types and frequencies of the subjunctive mood. By analyzing them, teachers can come up with an effective way to teach the subjunctive mood to stud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3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8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