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3 0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 비교

Title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Well-Bing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Care Unit and General Nursing Unit
Author
박지애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상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을 확인・비교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제도 정착을 위한 전략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술적 비교 연구로서, 2018년 4월 25일부터 5월 2일까지 경기도 소재 3개의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67명과 일반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상황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문항은 신채미(2017)의 설문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조직웰빙에 대한 도구는 성연옥(2011)이 개발한 27문항의 조직웰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t-test, one way-ANOVA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으로 여성이 94.0% 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28.6세로 25세 미만이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88.1% 이었고, 최종학력은 4년제 졸업이 79.1%로 가장 많았다. 직무관련 특성으로 총 근무경력은 평균 6.46년으로 1-5년 미만이 61.1% 이었다. 현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2.97년으로 1-5년 미만이 52.2% 이었다. 현재 근무병동은 기타가 35.9%로 가장 많았으며, 행복한 조직생활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에 대한 다중응답은 충분한 급여 및 인센티브가 73.1%로 가장 많았다. 2.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으로 여성이 98.5% 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28.9세로 25세-30세 미만이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72.3% 이었고, 최종학력은 4년제 졸업이 58.4%로 가장 많았다. 직무관련 특성으로 총 근무경력은 평균 6.01년으로 1-5년 미만이 69.2% 이었으며, 현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3.89년으로 1-5년 미만이 56.9% 이었다. 현재 근무병동은 내과계가 61.6%로 가장 많았으며, 행복한 조직생활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에 대한 다중응답은 간호인력 증가가 83.1%로 가장 많았다. 3.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중 결혼상태, 최종학력, 현부서 근무경력, 현재 근무병동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상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의 업무량은 59.7%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증가한 업무에 대한 보상은 77.5%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간호업무가 아닌 일상생활지원업무는 65.7%가 요구받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신규간호사의 경우 간호보조 인력에 대한 업무지시나 관리, 감독하는데 55.2%가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의 간호사의 책임은 이전과 비교해 89.6%가 증가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증가된 책임에 대해 간호사를 보호해줄 제도적인 장치나 지원은 76.7%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숙련된 간호사의 경우 팀 리더 역할을 맡은 신규간호사에 대해 80.6%가 걱정을 하고 있었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정착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체계화된 업무표준 지침 마련과 적정보상, 간호수가 책정이 각 26.9%로 가장 많았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조직웰빙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결혼상태(F=1.954, p=.027), 현재 근무병동(F=5.665,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보다 미혼이, 현재 근무병동에서는 내과계 보다 외과계와 기타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조직웰빙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병동은 최종학력(F=.120, p=.045), 현부서 근무경력(F=4.307, p=.009), 현재 근무병동(F=2.682, p=.03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증결과, 최종학력에서는 3년제 졸업생이, 현부서 근무경력에서는 5년 이상 근무, 현재 근무병동에서는 내과계와 외과계보다 기타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조직웰빙이 유의하게 높았다. 6. 연구대상자의 조직웰빙 평균 점수는 문항 당 5점 만점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3.15±0.47점, 일반병동은 3.14±0.28점 이었다. 환경적 차원의 웰빙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3.19±0.48점, 일반병동 3.22±0.32점 이었으며, 개인적 차원의 웰빙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3.09±0.52점, 일반병동 2.92±0.39점 이었다. 7. 조직웰빙 하위영역의 요인별 점수를 살펴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조직 내 인간관계 3.60±0.5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몰입 3.35±0.54점, 직무보람 3.26±0.70점, 삶에의 충일감 3.25±0.52점, 학습기회 3.16±0.66점, 조직분위기 3.07±0.71점, 삶에의 여유 2.92±0.71점, 복리후생 2.67±0.7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병동은 조직 내 인간관계 3.70±0.5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몰입 3.26±0.48점, 조직분위기 3.25± 0.44점, 학습기회 3.19±0.51점, 직무보람 3.03±0.47점, 삶에의 충일감 3.02±0.51점, 복리후생 2.86±0.64점, 삶에의 여유 2.82±0.4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8.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직웰빙 하위영역 중 개인적 차원의 웰빙(F=-2.072, p=.040)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영역의 요인 중 직무보람(F=-2.132, p=.017)과 삶에의 충일감(F=-2.557, p=.006)의 경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조직분위기(F=1.783, p=.038)는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조직웰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하위영역 중 개인적 차원의 웰빙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하위영역의 요인 중 직무보람과 삶에 충일감의 경우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이 일반병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조직분위기의 경우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조직분위기를 높일 수 있도록 간호사들의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멘토링 프로그램 등 사회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며, 동료와 상사 간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조직분위기를 선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들이 일을 하면서 보람과 성취감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며, 삶에의 충일감을 위해 자신의 성숙이나 잠재적 능력을 계속해서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학습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들의 보상체계를 개발하여 늘어난 업무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나 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1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5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