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6 0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Title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Other Title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resilience focusing on journal of home economics department and psychology in Korea(2000~2013)
Author
이정숙
Keywords
탄력성; 자아탄력성; 연구동향; resilience; ego-resiliency; research trends
Issue Date
2013-12
Publisher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Citation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8, no.2, p23-41
Abstract
복잡한 사회 속에서 인간은 피할 수 없는 일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내적 및 외적 갈등을 경험한다. 이런 일상 속에서 개인에게 필요한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력에 대한 관 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관심은 어려운 상황을 효율적으로 다루고 긍정적인 성취와 적응 할 수 있는 능력인 ‘탄력성(resilience)’이 요구되어졌다(Masten & Coatsworth, 1998). 이 탄력성 의 개념은 일상의 사건부터 삶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는 심각한 스트레스나 역경을 극복하 고 오히려 새로운 기회로 삼아 도전하여 자신을 발전시키는 능력이라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Reivich & Shatte, 2002). 따라서 다양한 개인 및 사회적 요구에 따라 탄력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꾸준하게 발전되어왔다.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국외 연구는 국내보다 4-50년 전부 터 탄력성 연구가 시작되었다. 초기 연구에서는 개인, 가정 및 사회를 중심으로 탄력성을 촉진시키는 보호요인과 위험 요인 등을 탐색하였다(Goldstein & Brooks, 2009). 초기 연구를 통해서 개인의 탄력성은 한 가지 위험요인이 아닌 여러 위험 요인이 누적되어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 이를 극복하여 얼마나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지속하는지에 대한 인과적 관점 을 중심으로 이뤄졌다(홍은숙, 2006). 이 시기에 이뤄진 종단연구를 통해 개인이 발달과정 중에 직면하거나 직면될 위험 요인과 역경을 이기는 요인 모두 분별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 (Goldstein & Brooks, 2009). 그 결과 탄력성을 높이는 개인적인 특징으로는 적응적이고 순한 기질, 높은 지적 능력, 정서와 행동 조절과 문제해결 능력, 높은 자아존중감, 자신 및 자신 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과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태도, 스트레스 극복 능력, 등을 구분 하였다(홍은숙, 2006; Daniel, Wassell, Campbell, 2008a, 2008b; Goldstein & Brooks, 2009). 또한 가족 및 부모와 관련하여 탄력성은 유대감 높은 부모 자녀관계와 형제관계, 자녀교육에 대 한 부모의 관심, 좋은 경제적 상황과 고등교육을 받은 부모, 부부의 결속력과 화합, 가족구 성원 간의 유대감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하였다(홍은숙, 2006; Goldstein & Brooks, 2009). 그리고 탄력성을 높이는 지역 사회와의 특성으로 오염되지 않은 생활환경, 안전한 사회 분위기와 지원, 효과적인 학교 교육에 대한 제반시설 등을 밝혀내었다(Daniel et al., 2008a, 2008b). 반면에 위험요인은 개인적인 특성과 관련하여 낮은 지적 기능, 자신에 대한 부정적이고 낮은 평가와 부정적인 믿음, 매우 예민하고 까다로운 성격과 기질, 학교 부적응 과 학대 경험 등이 속한다(홍은숙, 2006; Daniel et al., 2008a, 2008b; Goldstein & Brooks, 2009). 가정 및 부모와 관련하여 부모의 정신병리, 부적절한 양육방식, 불안정한 부모-자녀 관계, 가족구성원 간 및 부부간의 갈등이 포함되었다(홍은숙, 2006; Goldstein & Brooks, 2009). 탄력성을 낮추는 사회적 요인으로는 불안정한 사회적 분위기, 의식주 제공이 원활하 지 못한 사회적 지원 및 정신적 지원(예: 부모교육, 자녀보육, 직업교육, 정신보건, 주거 및 교육서비스) 등이 있다(Goldstein & Brooks, 2009).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of resilience to the future researches by analyzing a total of 65 in August 2013 from 2000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department and psychology. First, resilience studies began since 2001. In 2012, resilience researches was studied actively as an increasing trend. Second, subjects were studie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s and parents, adulthood, teacher and speciality consultant and multi-cultural family in order, while relatively infants were few. Third, purpose of studies were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 and dangerous factors, factors related on parents and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And subjects studied the most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hood and then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he subject for transnational marriage and families were interested picks up in these days because of the growing trend in Korea. Forth, the study researches of the sampling personnel were mainly more than ‘200 or 300 people’. The reason of this result was that many researches used questionnaire method. Fifth, measurements of resilience were used Block and Kremen(1996) scale, Klohnen(1996) scale and Block & Block(1980) scale in domestic research. The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But scales for adult and family were used by reconstituting the established scales for components of resilience. So it needed to make resilience measurements for each age group. Sixth, this study was for the trend of resilience researches in domestic focus o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department and psychology. Through this results of study, it needed to be studied in various subjects and research field from youth to adult equally. And also methods was research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ore than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questionnaire method.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500252628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4833
ISSN
1975-92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