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0 0

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Title
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Structure and Meaning of Gyeonggi-do Dodang-gut SSanggunwung dance -Focused on Temporality and Spatiality
Author
김운미
Keywords
쌍군웅춤; 방수밟기; 시간성; 공간성; 순환성; SSanggunwung dance; Bangsubabgi; temporality; spatiality; circularity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Citation
우리춤과 과학기술, 2014, 24, P.101-119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도당굿 군웅거리 쌍군웅춤의 구조와 의미를 시간성과 공간성을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군웅거리의 쌍군웅춤은 우리 춤에 내재된 음양의 이치뿐만 아니라 경기도 도당굿의시루말에 의한 신화성을 담고 있다. 쌍군웅춤과 신화의 연관성은 경기도 도당굿의 미지와 산이가 구현하는 서사무가에서 찾을 수 있다 . 경기도 도당굿에 있어서 쌍군웅춤의 연구가 중요한 것은 군웅거리가 신화창조의 내력을 담고 있는 구비문학 적 의의를 가지며, 굿이 갖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액을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 신과 자연, 인간이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의지의 표현으로 상징적 의미가 쌍군웅춤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쌍군웅춤의 연행구조와 의미를 연구하는 것은 경기도 도당굿에서 분화된 전통춤 연구에 대한 선행적(先行的)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군웅거리의 연행방식은 선굿의 미지-쌍군웅의 미지+산이-군웅노정기의 산이로 연행 주체가 변화하는 특이성 이 있다. 쌍군웅춤은 군웅굿 의례의 한 형식으로 그 속에 일정한 틀과 규칙이 있으며 신명이 오르는 과정에서 즉흥적 움직임이 많았다. 이것은 굿의 현장성 때문이기도 하다. 군웅거리는 경기도 도당굿의 집합체로 보이는데, 이것은 도당굿의 공간성 및 시간성과도 관계가 있다고 보인 다. 굿춤은 의례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적 현상을 신체를 통한 상징으로 표현하는것이다. 쌍군웅에 있어서 춤 의 기능은 군웅신이 오시는 길을 정화한다는 일반적 기능과 서사무가 이면에 내재된 감추어진 상징적 기능이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상징은 미지와 산이는 음양의 대대적 관계로 해석되며 대대적 관계(공간성)속에 순환성(시간성)이 있 다. 그리고 사방(시간과 공간)의 중심에는 산, 마을, 우물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7등 신과 인간이 만나는 신인합일(神人合一)의 영역으로 신성성을 지닌다. 하늘과 땅,밤과 낮, 신과 인간 등 자연의 질 서 속에 있는 이원적인 요소들이 서로 극(極)하지 않고 대대적 관계 속에 상호 보완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무속의 기본적인 사상체계(思想體系)가 쌍군웅춤 속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도당굿의 연행적 가치는 국문학적, 음악학적, 무용학적, 연극학,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연구의 가치 를 지니며 경기도 도당굿의 무속춤을 연구하는 것은 근대전통춤의 형성과 분화를 이해하고 우리 춤의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일 것이다.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yeonggi-do Dodang-gutGunwunggeori SSanggunwung dance, focused on the temporality and the spatiality. SSanggunwung dance of Gunwinggeori contains not only the principles of the negative andthe positive within our dances but also the history of the Creation by Sirumal ofGyeonggi-do Dodang-gut. The association between SSanggunwung dance and the myth canbe found in Seosamuga performed by the Miji and Sani of Gyeonggi-do Dodang-gut. As for Gyeonggi-do Dodang-gut, the reason why the study on SSanggunwung dance isso important is that Gunwunggeori has the significance of oral literature that contains thehistory of the Creation and SSanggunwung dance has symbolic meaning in eliminatingmisfortune, which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a gut (exorcism), as an expression of a willfor harmonious living among god, nature and human. Studying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meaning of SSanggunwung dance is deemedto have a proactive value and significance for the study on traditional dances divided fromshamanism dances. The performance format of Gunwunggeori has its uniqueness in the change of theperformers from hereditary shaman of exorcism rite to Miji (hereditary shaman) ofSSanggunwung + Sani and then to Sani of Gunwungnojeonggi. * Hanyang University / kimunmi@hanyang.ac.kr** Completed Ph.D. Hanyang University Department of Dance /adriana21@naver.com경기도 도당굿 쌍군웅춤의 構造와 意味 119SSanggunwung dance was performed in a form of the Gunwung-gut ceremony. It hada certain formality and rule in it and had a lot of impromptu moves in the process ofexhilaration. This is also due to the on-the-spot nature of gut. Guwunggeori seems to be an aggregate of Gyeonggi-do Dodang-gut which might havea relation also with the spatiality and the temporality of Dodang-gut. Gut-chum is a dance to express the time and spatial phenomenon shown in ceremoniesas a symbol through a human body. In SSanggunwung, the functions of the dance includea general function to purify the road along which Gunwoong-god comes and a symbolicfunction that a Seosamu (narrative shamanism) hides in the other side. This symbol isinterpreted as the opposite relation (spatiality) of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and containsthe temporality in the opposite relation. And at the center of time and space, mountains,villages and wells have sacredness as the area of the unification of man and god where theymeet together. It was noticeable that SSanggunwung dance included a basic system ofthough from shamanism to pursue a complementary and harmonious living in an oppositerelation rather than incompatible relation that dualistic elements in nature’s order, such asheaven and earth, night and day and god and human, did not make themselvesincompatible each other. The performance of Gyeonggi-do Dodang-gut deserves its value for studies from theviewpoints of Korean literature, musicology, dance and cultural anthropology. Studying on the shamanism dance of Gyeonggi-do Dodang-gut shall be the process of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modern traditional dances andexploring the root of our dances.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170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115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S](예술·체육대학) > DANCE(무용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