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진혁-
dc.date.accessioned2018-04-27T05:08:00Z-
dc.date.available2018-04-27T05:08:00Z-
dc.date.issued2011-05-
dc.identifier.citation대한청각학회지,2011년,pp.25-31en_US
dc.identifier.issn1226-6507-
dc.identifier.urihttp://kmbase.medric.or.kr/Main.aspx?menu=01&d=KMBASE&m=VIEW&i=085862011015001002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0937-
dc.description.abstract진주종은 측두골에 파괴성 병변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진주종의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으며, Bezold 등이 제시한 retraction invagination theory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 유양돌기의 함기화가 진주종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제안되어 왔으며, 일측성 진주종 환자에서 반대측 귀에 병변이 발생할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2)3)4) 본 연구에서는 일측성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에서 반대쪽 귀의 임상양상과 방사선 검사를 이용하여, 반대측 귀의 함기화 정도와 중이질환 발생의 잠재적 위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측성 진주종성 중이염으로 진단 받은 52명의 환자와, 정상 고막소견과 정상 청력의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검이경과 현미경을 통한 고막검사와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측두골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측반규관이 관찰되는 축상 단면에서 함기골포의 면적을 측정하고, 전체 측두골의 면적에 대한 함기화된 영역의 비율(함기율), 전상고실와의 발달정도, 상고실의 폐색여부, 이관의 개폐여부, 안면신경와의 상태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진주종 환자군 52명 중 31명에서 반대측귀의 고막함몰, 고막천공, 상고실 파괴 등의 병적 고막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청력 검사상 31명은 정상청력, 12명은 경도 난청, 5명은 중등도의 난청, 4명은 중등고도이상의 난청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19명은 15dB이상의 기도 골도 차이가 있었다.2. 병변측 귀, 반대측 귀, 대조군의 평균 유양동함기부의 면적은 각각 1.97㎠, 2.72㎠, 4.45㎠, 함기율은 각각 22.6%, 29.4%, 42.0%로 각각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4, 0.010)3. 병변측의 경우 16례(31%), 반대측 귀에서 4례(8%)에서 부분 혹은 완전한 이관폐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상고실와의 발달정도는 발달이 안된 경우, 하나의 봉소로 이루어진 경우, 여러개의 봉소로 나누어진 경우로 분류하였을 때, 병변측에서 각각 62%, 37%, 2%, 반대측에서 13%, 50%, 37%, 대조군에서 43%, 50%, 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본 연구의 결과 진주종성 중이염 환자의 반대쪽 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함기화 정도, 이관기능, 이관과 상고실사이의 환기경로가 감소되어 있다. 이는 중이병변의 발병에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반대쪽 귀의 중이 병변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위해 지속적인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en_US
dc.publisher대한청각학회en_US
dc.subjectEpitympanic spaceen_US
dc.subjectPneumatizationen_US
dc.subjectCholesteatomaen_US
dc.subjectChronic otitis mediaen_US
dc.title진주종 및 중이염에서 상고실의 발달정도와 유양동 함기화 정도의 비교en_US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evaluation and mastoid pneumatization of contralateral ear in the unilateral cholesteatoma patient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5-
dc.relation.page25-31-
dc.relation.journal대한청각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진혁-
dc.contributor.googleauthor민현정-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성근-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주환-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승환-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철원-
dc.relation.code201221066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MEDICIN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CINE-
dc.identifier.pident-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