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0 0

팩션영화에 대한 화쟁기호학적 연구

Title
팩션영화에 대한 화쟁기호학적 연구
Other Titles
A Hwajaeng Semiotics Study on Faction Film: With a Focus on Masquerade
Author
고혜영
Alternative Author(s)
Ko, Hye Young
Advisor(s)
이도흠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팩션 영화에서 재현하는 역사와 실제 역사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텍스트 내적 분석과 맥락적 해석을 종합하여 팩션 영화 텍스트와 역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영화 텍스트의 의미를 분석하고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20세기에 등장한 팩션은 2005년 영화 <왕의 남자>의 천만관객 돌파라는 기록 이후 새로운 흥행 장르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팩션에 대한 분석은 주로 사실/허구, 진실/거짓, 현실/왜곡 등의 대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이분법적 대립은 다른 하나를 배제하고 모든 차이를 양자로 동일시하고 그 사이를 보지 못하는 오류를 야기한다. 이에 <광해, 왕이 된 남자>를 중심으로, 이분법을 넘어서서 양자를 대대적(待對的)으로 바라보고 차이와 사이를 보는 화쟁기호학을 분석의 이론적 틀로 선택했다. 화쟁기호학 관점에서 볼 때 영화와 역사는 대립되지도 분별되지도 않는다. 차이가 존재하며, 그 차이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차이를 통한 의미는 다양한 해석을 갖게 되면서 비로소 열린 텍스트 읽기가 가능해진다. 화쟁기호학 분석은 화쟁미학의 품, 몸, 짓, 참에 따라 텍스트 내적 구조를 분석하고 의미를 파악한 뒤, 좁게는 제작자의 의도와 사상 그리고 더 큰 구조인 맥락, 세계관, 당시 사회문화와 현재 사회정치적 문화 등과 연관시키는 외적 구조의 분석으로 그 의미를 해석한다. 영화는 또 다른 역사를 기록하는 매체이므로, 텍스트를 분석하는 작업은 당시 사회, 문화, 정치적 맥락을 파악하는 것과도 연계된다. 이렇게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팩션 영화가 사회, 정치, 문화전반에 끼치는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다. ‘품’에서 시퀀스분석을 통해 극의 중심인물이 허구의 인물 ‘하선’이라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몸’에서 반영상은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고, 굴절상은 허구적 서사로 중심인물들의 현실과 이상의 갈등, 대립이 나타나고, 그 심층 의미가 함께 드러났다. 주체들의 행위소 분석에서 '광해'의 서사가 '하선'의 영웅서사를 부각하고 있음이 드러나고, 두 인물의 가장 큰 대립은 대상과 수신자로 나타났다. 각각의 서사는 인물들끼리 적대자와 발신자 역할을 번갈아 기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독립된 서사로 구분될 수는 없었다. ‘짓’은 역사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역사서사로,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여성상으로 해석되었다. 또, 피지배계층 관점에서 해학과 풍자의 성격을 띠고, 지배계층관점에서는 ‘하선’을 국가에 반하는 저항세력으로 읽을 수 있다. ‘참’에서 드러난 능동과 수동의 새로운 대립을 통해 실질적인 현실의 적대자를 타자가 아닌 자아의 내면과 자기반성에서 찾고자 함으로써, 투쟁과 모순의 관계가 아닌 화쟁의 관계-不一不二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정’과 ‘한’의 ‘화쟁’의 관계로 해석하면 텍스트는 대립에서 그치지 않고 ‘소통’을 매개로 화쟁을 이루고자 한다. 텍스트의 내적 의미는 또 다른 의미를 자아내는데, 능동적으로 현실과 당당히 맞설 때 이상향에 다다를 수 있다는 희망을 함께 제시함으로서 갈등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텍스트를 읽을 때 현실의 제약으로 인한 한이 희망이라는 매개로 해소되고 이 순간 모든 갈등과 대립은 사라지며 ‘一心’ 에 이르게 된다. 영화는 오늘날의 정치형상과 연결 지어서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정치적 의미를 드러내고, 사회적 의미에서 시대적, 사회적 변화를 반영시킴으로써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리고 천만 관객 흥행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군주상의 소비를 이끌어내고, 반영상과 굴절상의 조화를 이룬 팩션 영화라는 점에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2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30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SS MEDIA AND SCENARIO CONTENTS(대중문화·시나리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