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4 0

이상 시에 나타난 신체적 자의식 연구

Title
이상 시에 나타난 신체적 자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hysical Self-Consciousness represented by Yi Sang’s Poetry
Author
최유리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상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모더니스트 시인이다. 그는 본토의 정서를 거스르고 기존의 양식을 거부함으로써 문인으로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누리고 있다. 이상의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그의 자의식을 엿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은 이상의 이미지 중에서도 신체이미지들이 시적 주체와의 결합을 놓고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상 문학을 살펴보면 신체를 모티프로 한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이 폐결핵 환자였다는 전기적 사실과 그만의 시적 표현을 살펴보면 이상이 죽음에 대한 공포가 컸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상 시에서 나타나는 신체이미지가 자신의 신체를 대상으로 인식하는 데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그 이미지는 ‘시선을 주는 대상’과 ‘시선을 받는 대상’에서 비롯된 여러 정념을 밖으로 표출한다. 이상 시에 나타나는 신체이미지들은 기능을 상실한 채 분리되거나 절단, 훼손, 조각난 이미지로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나에게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의 흔적으로 볼 수 있다. 타인의 시선에 의해 객체화된 신체로서의 ‘나’가 자신이 타인의 시선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식한 ‘나’에 의해 압박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이상 시에서 나타나는 신체이미지를 ‘시선’의 관점으로 살펴본 다음 그의 신체적 자의식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 1절에서는 ‘환자’로서의 이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상을 어떤 측면에서 환자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환자적 특성을 지닌 자(patienthood)’라는 정의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상의 첫 각혈은 1930년 여름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발표된 이상 문학을 살펴보면 결핵은 공포로 다가오는 동시에 매혹의 대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작품으로 나타나는 그들의 신체적·정신적 증후가 병에 관한 미화나 낭만주의적인 인상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만큼 결핵이 가진 사회문화적 특수성은 이상 문학을 포함한 한국근대문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모티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절 ‘시선과 신체의 객체화’에서는 이상이 생전에 발표한 마지막 시로 추정되는 「危篤」을 중심으로 ‘나’의 죽음에 대한 충동과 시선에 의해 분리된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다. 이어서 3절 ‘기능을 상실한 신체이미지’에서는 이상 시에 나타나는 신체 모티프를 조금 더 깊숙이 드러나 논의하고 있다. 화자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나’에게서 벗어나려고 시도하는 동시에 타자로서 ‘나’를 바라보려고 한다. 그 과정에서 ‘손’의 이미지는 분리되거나 조각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상에게 있어서 잘린 ‘팔’이란 강박에서 발현하는 이미지이자 ‘보이지 않는 시선’을 가리기 위한 일종의 스크린이다. Ⅲ장에서는 1절 ‘신체기관 이탈과 자아 상실’과 2절 ‘신체기관 상설과 자아 확인’으로 나누어 이상 시에 나타나는 환자로서의 자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먼저 1절에서는 이상 시에 나타나는 거울 이미지가 신체를 대상화하려는 화자의 의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보고 있다. 이상이 거울에 비친 자신의 신체를 타인의 시선이 아닌 ‘나’ 자신으로 하여금 객체화하기 때문이다. 2절에서는 이상이 거울을 사이에 두고 오가는 ‘시선’으로부터 자꾸 달아나고자 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고 있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나’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가 이상이 다른 문인과 차별화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작시를 분석해보았을 때 이상 시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환자로서의 자의식’이 두드러진다고 했다. 본인이 환자임을 인정하면서도 그 사실에 대해 그 누구보다도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상 자신이 환자라는 의식에서 비롯된 신체기관은 누군가의 시선을 피하고자 이탈하기를 시도한다.; Yi Sang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1930s. He is the matchless literary person who is against to sentiments of the mainland and existing form. The image represented by Yi Sang's poetry is very important to see his self-consciousness. This paper will show which posture they have from combination of physical self-consciousness and the poetic subject. We will know that there are many body motivated expressions from Yi Sang's poetry. We can estimate that he has a huge sense of fear from historical fact which is about he was TB patient and his own poetic expressions. This paper exhibit that physical image from Yi Sang's poetry is recognized by his body. His image show a lot of emotions from. The body images represented by Yi Sang’s poetry indicate images which are separated, damaged, and broken. It considered that endeavor of trace attempt to escape from self-consciousness. Objectified body-consciousness by other people’s eyes feel pressure by ‘I’ who is conscious of the eyes of other people. Therefore, this paper will study about his body self-consciousness after examine the body images from Yi Sang’s poetry by perspective of sight. First of all, in the Chapter 1 Section 2 we will deal with Yi Sang as a patient. We set a standard of definition as a patient hood for Yi Sang about what kind of patient he is. It is known that Yi Sang’s first hemoptysis is 1930s summer. Tubucolosis was fear and fascinating object from Yi Sang’s work at that time. In Section 2, ‘Objectification of the gaze and the body’, ‘제목’ which is supposed to be the last poem published in life focus on the drive of death and image of the body separated by gaze. In Section 3, "Body image lost function", the body motifs appearing in the his poetry are discussed a little deeper. The speaker tries to escape from the 'I' conscious of the gaze of the other and look at 'I' as the other. In the process, the image of 'hand' appears as separated or fragmented. Therefore, 'arm', which is cut off from the ideal, is a kind of screen to display the image that is expressed in the compulsion and the 'invisible gaze’. In chapter Ⅲ, It is about self consciousness as a patient from Yi Sang’s poetry and divided into section 1, ‘break away from body organs and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section 2, ‘loss of body organs and self-affirmation'. In the first section, the mirror image represented by Yi Sang’s poetry shows the example of the speaker's consciousness to target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body that is reflected in the mirror is objectified by the 'I' rather than the gaze of the other person. In the second paragraph,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ideal attempts to escape from the 'gaze' which goes in and out of the mirror. This is why Yi Sang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writers because of the 'attempt' to escape from 'I' who is conscious of the gaze of others. When we analyze his series poetries, they remarkably show that self-consciousness as a patient'. While acknowledging that he is a patient, he is more self-defensive than anyone else. The body organs resulting from the consciousness of being a patient is trying to escape to avoid someone's gaz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17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7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