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 0

고등학교 공용공간의 패러다임 변화 분석

Title
고등학교 공용공간의 패러다임 변화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Paradigm Change in Common Space of High School: Focused on High Schools selected as Excellent School Facilities
Author
신지은
Alternative Author(s)
Shin, Ji Eun
Advisor(s)
황희준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9년 변화된 교육과정으로 교과교실제 실시이후 공용공간의 이용률이 늘어나면서 공용공간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제 공용공간은 단순히 이동공간의 기능을 넘어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과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켜주는 공간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과교실제가 실시된 2009년을 기준으로 약 10년 전후의 변화된 고등학교 공용공간을 분석하고 향후 지어질 고등학교의 공용공간 계획방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매년 우수시설학교로 선정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도면분석을 하였으며, 이 중 17개의 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활용했다. 선정된 학교의 도면 분석을 통해 첫째, 변화된 공용공간의 종류와 수를 알아본다. 둘째, 변화된 전용공간과 공용공간의 면적비, 이동공간과 체류공간의 면적비를 살펴본다. 셋째, 공간연결도를 작성하여 매년 변화된 체류공간과 전용공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 결과 공용공간의 종류와 수는 점점 늘어남을 알 수 있으며, 공용공간 면적비 또한 늘어남을 알 수 있다. 체류공간 면적비의 경우 교과교실제가 실시된 2009년 이후 늘어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2009년 이후 늘어난 사이공간과 홀 때문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교실제 이후 공용공간의 중요성이 공간계획에 적용되었다는 결과로 보인다. 체류공간과 전용공간의 연결도 변화의 경우 체류공간 주변에 연결된 공간들이 과거 교실, 행정실 등에서 최근 도서관 체육관, 세미나실 등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체류공간의 경우 학생들의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며, 늘어난 동아리 모임 등 학생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용공간의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체류공간 주변의 전용공간 그리고 위치와 크기에 따라 학생들이 쉬거나 활동하는 양상도 달라질 것이며, 이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공용공간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 되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0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2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