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6 0

박길룡 건축의 형태구성 원리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박길룡 건축의 형태구성 원리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Principles of Form Composition and Their Changes in Park Gil-Yong’s Architecture: - Focusing on Building types Except Dwelling facilities -
Author
서선의
Alternative Author(s)
Seo, Seon Ui
Advisor(s)
정인하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박길룡은 ‘최초’, ‘유일’이라는 평가를 받는 우리나라 1세대 근대 건축가이다. 그는 작품 활동과 건축 계몽 활동 모두에 활발했지만 지금까지의 박길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박길룡의 주택개량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길룡이 설계한 주거 외 건축물들의 형태구성 원리와 그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형태를 분석할 때 형태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형태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3가지로 설정한 후, 요소별로 주거 외 건축물들의 공간과 형태가 어떠한 영향을 받고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고 형성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요소별로 건축물의 형태구성을 분석한 뒤에는 박길룡의 건축관과 형태구성 원리를 정리하고 박길룡 건축이 근대건축 속에서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건축물의 범위는 박길룡이 설계한 1)주거 외 건축물 중에서도 2)도면을 확보할 수 있으며 3)현존하는 건축물을 위주로 한정시켜서 경성제국대학본관(1931), 조선생명보험사옥(1930), 동일은행 남대문지점(1931), 동아백화점(1931), 한청빌딩(1935), 화신백화점(1937), 7개를 다루게 된다. 건축물의 형태구성에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소는 건축 형태에 대한 박길룡의 견해와 필자가 박길룡의 주거 외 건축물을 예비 분석했을 때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1)도시적 맥락 2)구조체계 3)건축물의 용도로 설정했다. 분석을 진행할 때 필요한 연구 범위 내 건축물들의 도면, 사진, 공사개요 등의 정보는 「朝鮮と建築」잡지에서 입수하였고 도면 자료가 없지만 현존하는 보화각의 경우 직접 실측, 도면을 작성했다. 경성제대본관과 보화각을 제외한 나머지 건축물들도 평면도의 스케일을 맞추고 존재하지 않은 입면도는 직접 작성한 후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박길룡은 현 시대의 건축관의 근본관념은 건축기능이고 건축은 구조와 기능에 의해 성립되는 것이며 미학 또한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 미학은 장식미보다 구조에서 오는 역학미, 재료에서 오는 천연미가 진정한 것이며 소박간명할 때 아름답다고 이야기했다. 이와 같은 합리주의, 기능주의에 입각한 박길룡의 건축관은 실제 건축 작품에도 대체로 잘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그만큼 그의 건축에서 하나의 공통된 형태구성 원리를 찾거나 변화 과정을 밝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설계를 하는데 있어 박길룡만의 특별한 방법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고 합리주의, 기능주의의 건축관에 따라 도시적 맥락, 구조, 건축물의 용도 등 주어진 요건에 의해 건축물들이 모두 다르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디테일한 부분에 이르러서야 박길룡만의 형태구성 원리가 잘 드러난다. 여러 매스를 조합하는 방식, 그가 선호하는 개구부 구성의 방식, 입면 장식 요소들의 특징 등과 같은 부분에서 박길룡의 건축물만이 가지는 전체적인 형태미와 분위기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합리성에 의거한 입면구성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절충주의에 가까운 입면구성이 도출되었기 때문에 박길룡의 건축은 이론과 물리적 결과물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때문에 ‘모더니즘이 성행하던 시기의 절충주의 경향의 건축물’이라는 결과만 놓고 보면, 이는 근대 건축가로써 박길룡의 한계이자 모순일 수 있다. 그러나 박길룡이 자신의 이상보다 시대와 사회상을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융통적인 설계를 했다는 점, 건축물에서 박길룡만의 형태미와 분위기가 잘 드러난다는 점, 근대 건축의 선구자이자 계몽운동가로써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건축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그것이 분명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 등에서 박길룡의 건축은 근대 건축 속에서 의의를 갖는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0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5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DESIGN(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